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영남권 자료센터
호남권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관직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나라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건물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관청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인명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지명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문헌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홈
>
내용색인
> 지명
총
40
건
거창군(居昌郡) ~ 건선면(乾先靣) 줄래리(茁來里)
거창군(居昌郡)
거창도호부(居昌都護府)
거창부(居昌府)
거창읍(居昌邑)
거창현
거촌(巨村)
거촌(渠村)
거촌리(巨村里)
거치(巨峙)
거칠산(居漆山)
거칠산군(居漆山郡)
거타(居陀)
거타(居陁)
거평동
거흥리
건극당(建極堂)
건김(建金)
건남목원(建南木員)
건넛마
건넛마[越村]
건능골(근농골, 전능골)
건달(乾達)
건달동(乾達洞)
건달진(乾達津)
건동평(建洞坪)
건릉(健陵)
건마산(乾馬山)
건봉사(乾鳳寺)
건봉원(巾奉員)
건선면 대동하리
건선면 우포리
건선면 장작동
건선면 해사동
건선면(乾先面)
건선면(乾先面) 장동후평(藏洞後坪)
건선면(乾先面) 주래리(注萊里)
건선면(乾先面) 주을래리(注乙來里)
건선면(乾先面) 해사(蟹寺)
건선면(乾先面) 해사산(蟹寺山)
건선면(乾先靣) 줄래리(茁來里)
거창군(居昌郡)
총
14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거창군읍지(居昌郡邑誌)
/ 규장각
작성지역:경상남도 거창군 - 경상남도 거창군
/ 작성시기:1899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99년(광무3)경 경상남도 거창군(居昌郡)에서 만든 읍지이다. 거창군은 현재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남도 거창군 지역으로, 북서쪽으로 소백산맥을 통해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 등과 접해있으며, 동쪽은 합천군, 남쪽은 함양군, 북쪽은 경상북도 김천과 경계를 맞대고 있다. 거창군은 본래 신라의 거열군(居烈郡)으로 경덕왕대에 지금의 명칭인 거...
안의읍지(安義邑誌)
/ 규장각
작성지역:경상남도 안의군
/ 작성시기:1899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99년(광무3) 읍지 상송령에 따라 경상남도 안의군에서 편찬한 읍지이다. 본 책은 필사본이며, 1책 25장으로 되어 있다. 안의군의 채색 지도 1장이 첨부되어 있다. 안의군은 지금의 함양군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과 거창군 마리면, 위천면, 북상면에 해당하며, 읍치는 안의면 금천리, 교북리 일대에 있었다. 안의군은 본래 신라의 마...
1878년 정기상(鄭璣相) 소지(所志)
/ 고문서자료관
발급:정기상
/ 작성지역:강천
/ 작성시기:1878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878년 9월에 거창군 고현면 강천동에 사는 전교리 정기상이 1819년에 환급받은 선조 문간공 정온의 위토에 대하여 새로 도임한 신둔감이 공문을 빙자하여 자신의 답 수두락을 횡침하나, 사패질 철안이 있으므로, 앞으로 후일에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훈부에 전에 올린 소지와 문권을 점연하여 올려 달라는 상서이다.
1879년 정교리(鄭校理)댁 노 철발(哲發) 소지
/ 고문서자료관
발급:철발
/ 작성지역:강천동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 작성시기:1879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879년 1월에 거창군고현면강천동에 사는 정교리 댁 노 철발이 상전을 대신하여 토지에 대한 입지 발급을 청하면서 올린 청원서이다.
1880년 정연학(鄭然學) 등 소지(所志)
/ 고문서자료관
발급:정연학
/ 작성지역:강천동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 작성시기:1880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880년 3월에 안의강동에 사는 정연학 등이 정온의 묘소가 있는 산의 사산경계를 확정하기 위하여 거창군 군수에게 상서를 올렸다.
1635년 역천서원(嶧川書院) 심원록(審院錄)
/ 고문서자료관
발급:역천서원
/ 작성지역:안의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 작성시기:1635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635년에 건립된 역천서원은 임득번과 정유명을 제향하는 서원인데, 본서는 이 서원을 내방하여 분향한 사람들의 명단이다.
1878년 정기상(鄭璣相) 상서(上書)
/ 장서각
발급:정기상
/ 작성지역:강천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 작성시기:1878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878년 9월에 거창군고현면강천동에 사는 전교리 정기상이 1819년에 환급받은 선조 문간공 정온의 위토에 대하여 새로 도임한 신둔감이 공문을 빙자하여 자신의 답 수두락을 횡침하나, 사패질 철안이 있으므로, 앞으로 후일에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훈부에 전에 올린 소지와 문권을 점연하여 올려 달라는 상서이다.
1879년 정교리(鄭校理)댁 노 철발(哲發) 소지
/ 장서각
발급:철발
/ 작성지역:강천동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 작성시기:1879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879년 1월에 거창군고현면강천동에 사는 정교리 댁 노 철발이 상전을 대신하여 토지에 대한 입지 발급을 청하면서 올린 청원서이다.
1880년 정연학(鄭然學) 상서
/ 장서각
발급:정연학
/ 작성지역:강천동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 작성시기:1880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880년 3월에 안의강동에 사는 정연학 등이 정온의 묘소가 있는 산의 사산경계를 확정하기 위하여 거창군 군수에게 상서를 올렸다.
1880년 거창군수 제사(題辭)
/ 장서각
발급:거창군
/ 작성지역:거창 - 경상남도 거창군
/ 작성시기:1880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880년에 안의강동에 사는 정연학 등이 문간공 정온의 산소가 있는 산의 사산경계를 확정하기 위하여 거창군수에게 올린 청원서에 대한 판결문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