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영남권 자료센터
호남권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관직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나라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건물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관청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인명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지명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문헌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홈
>
내용색인
> 지명
총
40
건
경산부(京山府) ~ 경상도
경산부(京山府)
경산시 자인면
경산시(慶山市)
경산현(慶山縣)
경상(慶尙)
경상남도
경상남도 남해군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대사리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도마리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이어리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서호리
경상남도 밀양(密陽)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경상남도 사천시 남양동
경상남도 사천시 선구동
경상남도 사천치 선구동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경상남도 진주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동(鳴石洞) 계원리(桂垣里) 홍지동(洪池洞)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경상남도 창녕군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橋上里)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말흘리(화왕산 기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명교리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평리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관곡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삼신리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경상남도 합천군
경상남도 합천군 쌍백면 백역리
경상남도 합천군 추계면
경상남도 황석산(黃石山)
경상남도(慶尙南道)
경상남도북도
경상도
경산부(京山府)
총
16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성주군읍지(星州郡邑誌)
/ 규장각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899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99년(광무3)에 읍지 상송령에 의해 편찬된 경상북도 성주군 읍지이다. 성주군은 지금의 성주군 전체와 고령군의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달성군 논공읍 북쪽, 김천시 감천면, 증산면에 해당하는 큰 고을이었으며 읍치는 성주읍 경산리 일대에 있었다. 성주군은 신라 때 본피현(本彼縣)이었다가 성산군(星山郡), 벽진군(碧珍郡)...
지례군읍지(知禮郡邑誌)
/ 규장각
작성지역:경상도 지례현
/ 작성시기:1899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99년(광무3)에 편찬된 경상북도 지례군의 읍지이다. 지례군은 지금의 경북 김천시 지례면, 증산면, 대덕면, 부항면, 구성면 일대로 읍치는 지례면 상부리에 있었다. 본래 신라 지품천현(知品川縣)인데 신라 경덕왕대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문경군에 속하게 했으며, 고려 현종대에 경산부(京山府)에 속하게 했다. 공양왕 대에 감무(監務)를 두...
지례군읍지(知禮郡邑誌)
/ 규장각
작성지역:경상도 지례현
/ 작성시기:1899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99년(광무3)에 편찬된 경상북도 지례군의 읍지이다. 지례군은 지금의 경북 김천시 지례면, 증산면, 대덕면, 부항면, 구성면 일대로 읍치는 지례면 상부리에 있었다. 본래 신라 지품천현(知品川縣)인데 신라 경덕왕대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문경군에 속하게 했으며, 고려 현종대에 경산부(京山府)에 속하게 했다. 공양왕 대에 감무(監務)를 두...
1031년 정도사(淨兜寺) 오층석탑조성 형지기(刑止記)
/ 고문서자료관
작성지역:약목군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 작성시기:1031
/ 현소장처:국립대구박물관
고려 초기 정도사(淨兜寺)의 오층석탑을 건립하는 과정을 기록한 문서이다. 1905년 경부선 철도를 놓는 과정에서 철도에 인접해있던 버려진 절터의 오층석탑을 해체하여 서울경복궁으로 옮길 때, 탑 속에서 발견된 문서이다. 당시 사진이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6에 수록되었고, 원문서는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019년(현종1...
1912년 성주군(星州郡) 성주면(星州面) 경산동(京山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7월 30일부터 1912년 11월 29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성주군(星州郡)성주면(星州面)경산동(京山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地...
1912년 성주군(星州郡) 성주면(星州面) 대황동(大皇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2월 20일부터 1912년 12월 1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성주군(星州郡)성주면(星州面)대황동(大皇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地目...
1912년 성주군(星州郡) 성주면(星州面) 학산동(鶴山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3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2월 2일부터 1914년 3월 8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성주군(星州郡)성주면(星州面)학산동(鶴山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地目),...
1912년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가암동(伽岩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8월 20일부터 1913년 8월 25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가암동(伽岩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
1912년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운정동(雲亭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8월 6일부터 1912년 9월 29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운정동(雲亭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
1912년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자산동(紫山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8월 23일부터 1912년 9월 27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자산동(紫山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