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영남권 자료센터
호남권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관직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나라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건물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관청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인명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지명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문헌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홈
>
내용색인
> 지명
총
40
건
금양(錦陽) ~ 금천(衿川)
금양(錦陽)
금양(金壤)
금양군(金壤郡)
금양현(衿陽縣)
금영(錦營)
금오(金烏)
금오동
금오랑(金吾郞)
금오산(金烏山)
금오산(金烏山)
금오산(金鰲山)
금오촌(金烏村)
금요원(金堯員)
금자총(金子塚)
금장강(錦障江)
금장세동(錦帳細洞)
금점평
금정(金井)
금정리(金井里)
금정면(金井面) 아천리(牙川里)
금정면(金井面) 월평리 구싯골
금정면(金井面) 연보리(連寶里)
금정산성(金井山城)
금정평
금제
금제(金堤)
금제군 성덕면 석동리(金堤郡聖德面石洞里)
금주(今州)
금주(金州)
금주(錦州)
금주(金州)
금주목(金州牧)
금주안동도호부(金州安東都護府)
금지(금은지, 검제, 琴堤, 金溪)
금지촌(金地村)
금진(錦鎭)
금창리(金昌里)
금천
금천 동산리
금천(衿川)
금양(錦陽)
총
6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724년 박용상(朴龍相)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박용상,수취:김성탁
/ 작성지역:영덕
/ 작성시기:1724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1724년 윤4월 11일, 박용상이 권만에게 받은 시에 운자를 따서 지은 시 한 소절을 보내기 위해 김성탁에게 보낸 편지이다. 박용상은 자신의 늙음을 한탄하며 현재 상황을 알렸다. 그리고 권만이 편지와 시를 보냈는데, 그 시가 아름답게 잘 지은 것이 세상 밖의 보배라고 하였다. 그는 권만이 자신의 시에 답시를 써서 상대에게도 보내고, 그를...
1731년 박용상(朴龍相)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박용상,수취:김성탁
/ 작성지역:영덕
/ 작성시기:1731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1731년 5월 15일, 박용상이 혹심한 가뭄 상황을 알리고 학술 논쟁을 벌인 일 등을 알리기 위해 김성탁에게 보낸 편지이다. 박용상은 상대의 답장을 받고 잘 지낸다는 것을 알고서 매우 기뻤다고 하였다. 그리고 또 상대의 안부와 그 부인의 차도 및 인근의 마마병에 관하여 물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사는 곳에 전염병 조짐이 생긴 일, 금양...
1913년 안동군 임서면(臨西面) 금소동(琴韶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안동군
/ 작성시기:1913
/ 현소장처:안동시청
琴韶洞은 조선시대 말 안동군 임서면에 속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금소리가 되었다. 1931년 안동군 임하면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와 통합되면서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가 되었다. 마을 앞쪽에는 길안천이 흐르고, 마을 뒤쪽에는 완만한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다. 마을과 길안천 사이에는 넓은 들이 펼쳐져 있고, ...
1882년 금양학단(錦陽學壇)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금양학단,수취:영해향중
/ 작성지역:금양
/ 작성시기:1882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1882년 12월 7일, 김규락(金奎洛) 외 12인이 금양초당(錦陽草堂)의 중수를 계기로 학계를 창설하자고 제안하기 위해 영해향중으로 보낸 연명 편지이다. 갈암 이현일(李玄逸)의 강학소인 금양초당을 중수하면서 학계를 결성하자는 의논을 낸 일에 대해 자신들도 참여하고 싶다고 하면서, 인근의 사림이 모인 자리에서 의논하여 물자를 분배한 뒤 계...
1897년 이광로(李光魯) 외 7인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이광로, 이원, 이승필, 이승원, 이경로, 이도후, 이승복,수취:행정 회중
/ 작성지역:元覺土洞
/ 작성시기:1897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1897년 10월 23일에 이광로 외 7인이 행정(杏亭)의 모임에 보낸 편지이다. 갈암 이현일 선생의 묘소에 비석을 세운다는 소식을 듣고, 도리 상 마땅한 일이라 하였다. 그러나 비석의 전면에 다만 일곱 글자만 쓴 데 대해서 선생의 높은 덕에 비해 서글픈 심정이라고 하였다. 겨울 막바지의 추위 속에 큰일을 치르는 상대측 사람들에 대해 염려...
1953년 이현일(李玄逸) 금양단(錦陽壇) 낙성식 관련 통문(通文)
/ 영남권역
발급:금양단소
/ 작성시기:1953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1953년 8월 28일에 보낸 이현일(李玄逸)을 기리는 금양단(錦陽壇) 비석 낙성식이 월 17일에 열리니 참여하라는 내용의 통문(通文)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