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영남권 자료센터
호남권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관직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나라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건물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관청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인명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지명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문헌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홈
>
내용색인
> 지명
총
38
건
김천(金泉) ~ 끗동(唜同)
김천(金泉)
김천(金泉)
김천군 외증산면 고방리
김천군(金川郡)
김천군(金泉郡)
김천도
김천면
김천시 구성면 작내리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김천시(金泉市)
김천역
김천역(金泉驛)
김포
김포(金浦)
김포(金浦)
김포군
김포리(金浦里)
김하리(金下里)
김해
김해(金海)
김해(金海)
김해(金海), 용제봉(龍蹄峯), 불모산(佛母山)
김해군(金海郡)
김해부
김해부(金海府)
김화(金化)
김화(金花)
김화(金化)
김화군
金化郡
김화군(金化郡)
김화현(金化縣)
까막구딩이[행정(行停 · 杏亭)]
까치개(鵲浦)
까치마(鵲村)
까치산[鵲山]
까칠개(鵲坪)
끗동(唜同)
김천(金泉)
총
19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552년 정공징(鄭公徵) 칠남매(七男妹) 화회문기(和會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정창문, 이성, 조씨, 정공청,수취:유옥, 이남(二男) 겸사복(兼司僕) 정공건(鄭公虔) 첩(妾), 정공예
/ 작성지역:김산현
/ 작성시기:1552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1552년(명종7)정공징(鄭公徵)의 일곱 형제자매들이 돌아가신 부모님의 전답과 가옥을 나누어 가진 상속문서이다. 무오사화(戊午士禍: 1498년)로 아버지 정이교(鄭以僑: ?~1498)가 그해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고, 1537년 경에는 어머니 화순최씨(和順崔氏) 마저 돌아가시자 이들의 자녀 칠남매는 부모님이 생전에 상속하지 않은 재산을 나...
1805년 구계종(具繼琮) 고목(告目)
/ 호남권역
발급:구계종,수취:서방주(書房主)
/ 작성지역:자여
/ 작성시기:1805
/ 현소장처:해남 김해김씨 노송사
1805년(순조 5) 1월 19일에 자여하리구계종이 서방주에게 보낸 고목이다. 6년의 시간이 흐르고 인편으로 서방님의 안부를 들었고, 자신은 맡은 일은 수행하고 있으나 가운이 더욱 나빠졌는데 지난번에 숙부의 부고를 접하고 뜻하지 않게 선대부인의 부고를 들으니 놀랐으며 작년에 김천의 일은 이따금 더욱 생각이 간절하였으나 번거롭게 아뢸 수 없...
1813년 이원조(李源祚)가 아버지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 영남권역
작성시기:1813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1813년이원조(李源祚)가 아버지 이규진(李奎鎭)에게 도목정사(都目政事)가 진행되는 상황과 객지에 있는 아버지의 안부를 묻는 내용이다.
1820년 김노범(金魯範)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김노범,수취:금릉수령(金陵首領)
/ 작성지역:웅천
/ 작성시기:1820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1820년 11월 14일, 김노범이 금릉읍 소속 향색(鄕色)을 엄책하지 말기를 당부하기 위해 금릉수령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와 부인의 병세가 어떠한지 묻고 환곡으로 괴롭지 않은지 묻고 있다. 이어서 자신은 매월 초하루 지방특산물을 임금에게 바치는 삭선(朔膳)을 겨우 마치고 쉬고 있지만 환곡으로 걱정이 많다고 하고 있다. 또...
1821년 김노범(金魯範)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김노범,수취:금릉수령(金陵首領)
/ 작성지역:웅천
/ 작성시기:1821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1821년 4월 22일, 김노범이 금릉에서 정사를 보는 사람에게 답장을 쓴 것이다. 먼저 상대방에게 안부를 묻고 자신은 상중에 있는데 여러 날 동안 공무를 수행하여 고달프고 오랜 시간동안 신음만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어서 상대방이 부탁한 살구나무 널빤지는 통나무 상태여서 바로 주기 어려우니 목수가 올 것을 기다려 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
1912년 성주군(星州郡) 성주면(星州面) 금산동(錦山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8월 10일부터 1914년 8월 30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성주군(星州郡)성주면(星州面)금산동(錦山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地目...
1912년 성주군(星州郡) 대가면(大家面) 중산동(中山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9월 9일부터 1913년 10월 20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성주군(星州郡)대가면(大家面)중산동(中山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地目...
1912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봉정동(鳳亭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8월 3일부터 1914년 3월 7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봉정동(鳳亭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地...
1912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동포동(東浦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8월 22일부터 1913년 8월 27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동포동(東浦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
1912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소성동(韶成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북도 성주군
/ 작성시기:1912
/ 현소장처:성주군청
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照査局)에서 1912년 8월 28일부터 12월 17일까지 경상북도(慶尙北道)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소성동(韶成洞)의 전답(田畓)과 대지(垈地), 임야(林野), 분묘지(墳墓地), 지소(池沼) 등의 소유자로부터 토지신고서를 제출받아 지번(地番), 가지번(假地番), 지목(地目),...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