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강원권역 자료센터
영남권역 자료센터
충청권역 자료센터
호남권역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서울특별시
강남구 (7)
강동구 (1)
강북구 (3)
강서구 (4)
광진구 (8)
구로구 (11)
노원구 (3)
도봉구 (1)
동대문구 (2)
동작구 (1)
마포구 (3)
서대문구 (4)
서초구 (6)
성동구 (1)
성북구 (82)
송파구 (1)
양천구 (11)
용산구 (1)
은평구 (2)
종로구 (10858)
중구 (318)
중랑구 (4)
부산광역시
기장군 (10)
동구 (1)
동래구 (371)
사상구 (1)
사하구 (2)
수영구 (1)
중구 (1)
대구광역시
달서구 (2)
달성군 (186)
동구 (33)
북구 (5)
수성구 (3)
중구 (30)
군위군 (35)
인천광역시
강화군 (80)
남동구 (1)
부평구 (8)
연수구 (1)
중구 (1)
광주광역시
광산구 (76)
남구 (16)
북구 (1)
서구 (1)
대전광역시
대덕구 (110)
동구 (3)
유성구 (9)
중구 (23)
울산광역시
남구 (1)
울주군 (17)
중구 (4)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가평군 (5)
고양시 (63)
과천시 (4)
광명시 (2)
광주시 (73)
구리시 (29)
군포시 (1)
김포시 (8)
남양주시 (24)
수원시 (32)
시흥시 (2)
안산시 (65)
안성시 (22)
양주시 (55)
양평군 (29)
여주시 (6)
연천군 (11)
용인시 (61)
의정부시 (3)
이천시 (56)
파주시 (35)
평택시 (4)
포천시 (12)
화성시 (1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203)
고성군 (70)
동해시 (21)
삼척시 (122)
양구군 (3)
양양군 (98)
영월군 (28)
원주시 (89)
인제군 (3)
정선군 (16)
철원군 (11)
춘천시 (190)
태백시 (2)
평창군 (20)
홍천군 (14)
화천군 (3)
횡성군 (38)
충청북도
괴산군 (18)
단양군 (15)
보은군 (53)
영동군 (16)
옥천군 (16)
음성군 (3)
제천시 (31)
진천군 (4)
청주시 (51)
충주시 (35)
충청남도
계룡시 (13)
공주시 (65)
금산군 (19)
논산시 (60)
당진시 (3)
보령시 (13)
부여군 (58)
서산시 (109)
서천군 (5)
아산시 (101)
예산군 (59)
천안시 (19)
청양군 (111)
태안군 (1)
홍성군 (25)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499)
군산시 (129)
김제시 (520)
남원시 (542)
무주군 (169)
부안군 (1175)
순창군 (452)
완주군 (324)
익산시 (235)
임실군 (654)
장수군 (118)
전주시 (328)
정읍시 (587)
진안군 (350)
전라남도
강진군 (317)
고흥군 (219)
곡성군 (190)
광양시 (134)
구례군 (340)
나주시 (699)
담양군 (251)
목포시 (5)
무안군 (111)
보성군 (1374)
순천시 (283)
신안군 (231)
여수시 (136)
영광군 (1362)
영암군 (1067)
완도군 (52)
장성군 (458)
장흥군 (588)
진도군 (24)
함평군 (199)
해남군 (608)
화순군 (442)
경상북도
경산시 (94)
경주시 (2186)
고령군 (27)
구미시 (228)
김천시 (51)
문경시 (46)
봉화군 (240)
상주시 (579)
성주군 (309)
안동시 (3651)
영덕군 (781)
영양군 (312)
영주시 (257)
영천시 (254)
예천군 (250)
울진군 (47)
의성군 (175)
청도군 (92)
청송군 (59)
칠곡군 (266)
포항시 (94)
경상남도
거제시 (161)
거창군 (279)
고성군 (12)
김해시 (176)
남해군 (61)
밀양시 (270)
사천시 (25)
산청군 (152)
양산시 (10)
의령군 (25)
진주시 (506)
창녕군 (15)
창원시 (39)
통영시 (18)
하동군 (74)
함안군 (164)
함양군 (194)
합천군 (252)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08)
제주시 (556)
홈
>
디렉토리분류
>
지역분류
> 영덕군
총
781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자료정렬 :
=== 선택 ===
자료명
작성시기
구축시기
유형
주제
소장처
시기
권역
전체
국왕·왕실
정치·행정
법제
경제
사회
교육·문화
종교·풍속
개인
전체
전체
문중
서원·향교
박물관·도서관
공공기관
해외
기타
개인
전체
전체
삼국․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
기타
전체
전체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전체
규장각
장서각
강원권
영남권
충청권
호남권
해외권
전체
고서
고문서
전체
전체
○○년 이상건(李相健)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이상건
/ 작성지역:영덕 인량
/ 작성시기:미상
이상건이 고리로 보낸 편지이다. 상대방의 안부와 마을의 전염병에 대해 묻고 자신의 안부를 전하였다. 악손의 초시합격 소식과 추운계절 요원 제사에 대한 걱정을 전하였다. 석천의 계획은 종을 통해 알리겠다고 전하였다.
○○년 이상건(李相健)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이상건
/ 작성지역:영덕 인량
/ 작성시기:미상
12월 4일 이상건이 상대방에게 보낸 편지이다. 성호의 편지 내용은 가문에 큰일로 이것은 함께 모여 토론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해주길 부탁하였다.
○○년 추금(秋金)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추금
/ 작성지역:영덕
/ 작성시기:미상
연도 미상에 추금(秋金)이 상전댁에 벌금을 납부 해 주길 간청하기 위해 쓴 편지이다. 세금을 독촉하는 것이 날로 심해서 지난번 형을 스무 차례 받았고 이번에도 스무 차례를 받았는데, 반드시 며칠 사이에 다시 중형을 받을 것이라고 하면서 자신이 믿는 것은 상전뿐이라고 하였다. 우선 25냥을 상전댁에서 납부해주면 이 화를 면하고, 원통한 혼령...
1371년 백문질(白文質) 분급문기(分給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백문질, 황씨,수취:백선, 백진, 백수, 백환, 백항
/ 작성지역:영해
/ 작성시기:1371
1371년백문질(白文質)과 그 처는 다섯 아들에게 재산을 상속하는 문서를 작성하였다. 이 문서는 원본으로는 전하지 않고 『남종통기(南宗通記)』라는 영양남씨(英陽南氏) 집안의 역사서에 수록되어 전한다. 전문이 수록되지 못하고 간략히 발췌한 초록이 수록되었으나, 기록으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상속문서 가운데 하나이다.
1466년 남손(南蓀) 사급입안(斜給立案)
/ 고문서자료관
발급:영해부,수취:남손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466
1466년영해부에서 남손(南蓀)에게 내려준 공증문서이다. 같은 해 정월 5일에 남손의 아버지 남수(南須)와 그 처 백씨는 자녀들에게 노비를 나누어주었다. 상속을 받은 둘째 아들 남손은 이 상속문서에 대한 관의 공증을 요청하였고, 이에 대한 사실조사를 마친 영해부에서 본 입안(立案)을 발급해 주었다. 조선시대에는 부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 바...
1466년 남손(南蓀) 소지(所志)
/ 고문서자료관
발급:남손,수취:영해부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466
1466년 정월 초5일 남손(南蓀)은 부모 남수(南須)와 백씨로부터 노비(奴婢)를 상속받았다. 그는 곧 이 노비에 대한 공증문서인 입안(立案)의 발급을 요청하는 본 문서를 관할지방관청인 영해부(寧海府)에 올렸다. 노비의 상속과 매매시에 입안을 받아두는 관행은 이미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것이다. 영해부에서는 본 문서를 초9일에 접수하였고, 초...
1466년 남수(南須) 분급문기(分給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남수, 백씨,수취:남진, 남씨, 남손, 남전, 남천이, 남개이, 남고음덕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466
1466년 정월 초5일 남수(南須)와 그 처 백씨는 자녀들에게 노비(奴婢)를 상속하였다. 자녀 4남매뿐만 아니라 남편 남수의 첩자녀 3인에게도 재산을 나누어 주었다. 원본 문서는 전하는 과정에서 분할되고 또 칼로 오려져 ‘언제’ ‘누구에게’ ‘얼마만큼’의 재산을 나누어주었는지를 알 수 없다. 그러나 다행히도 남씨 집안의 역사서라고 할 『남...
1466년 신석손(申碩孫) 초사(招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신석손,수취:영해부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466
1466년신석손(申碩孫)이 영해부에 올린 사실확인서이다. 남수(南須)와 그 처 백씨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나누어주면서 상속문서를 작성할 때, 신석손은 증인으로 참석하였다. 상속을 받은 둘째 아들 남손(南蓀)이 이에 대한 관의 공증을 요청하자 이를 접수한 영해부에서 사실조사를 벌이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증인 신석손은 이 상속이 사실이라는 취...
1466년 임모(林某) 초사(招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임,수취:영해부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466
1466년임아무개가 영해부에 올린 사실확인서이다. 오랜 세월 전해지는 과정에서 훼손되어 말미만이 겨우 남았다. 그러나 풀로 이어붙인 신석손(申碩孫)의 사실확인서 등을 통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남수(南須)와 그 처 백씨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나누어주면서 상속문서를 작성할 때, 임모와 신석손은 증인으로 참석하였다. 상속을 받은 둘째 아...
1536년 이판관(李判官)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숙한,수취:이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36
1536년(중종31)이(李)판관(判官)이 김숙한(金淑漢)으로부터 논밭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계약서이다. 김숙한은 장모로부터 상속받은 이 땅이 사는 곳으로부터 멀어 경작하기가 어려웠다. 해서 이번에 팔기로 결정한 것이다. 통상 전통시대의 전답거래는 농한기인 겨울에 이루어지는 데 반해 이 거래는 한여름인 음력 6월 15일에 있었다. 농사가 한창...
1543년 이애(李璦) 별급문기(別給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이애,수취:이은보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43
1543년(중종38)이애(李璦)가 맏아들 이은보(李殷輔)에게 장자로서 담당해야할 제사 밑천 재산을 특별히 상속한 문서이다. 본시 풍증(風症)이 있어 걷기가 힘들었던 64세의 노인 이애는 이때 다시 중풍에 걸려 전신을 가누기가 힘들어졌다. 이에 올해 24살이 된 맏아들에게 제사를 위한 재산을 우선적으로 상속한 것이다. 이에 앞서 그는 장자를...
1543년 이애(李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숙한,수취:이애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43
1543년(중종38)울진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이애(李璦)가 김숙한(金淑漢)으로부터 논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영천(榮川)에 사는 김숙한은 처가로부터 상속받은 잉량화원(仍良火員)의 논이 집에서 너무 멀어 경작하기가 힘든 까닭에 팔기로 한 것이다. 영해부(寧海府)에 사는 이애가 사들였으니, 이 논은 현재 영덕군에 위치한 땅일 것이...
1545년 이은보(李殷輔) 처(妻) 이씨(李氏) 남매(男妹) 노비분깃문기(奴婢分衿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정창국, 이은보, 이씨, 이상림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45
1545년(인종1)이은보(李殷輔)의 처 이씨가 사망한 부모의 재산 가운데 남녀종을 친정의 언니, 여동생, 남동생과 함께 나누어 가진 상속문서이다. 전날인 1월 26일에는 전답을 나누고 이날은 종을 분할함으로써 상속을 마무리한 것이다. 총 68명의 종을 각기 16명씩 나누어 가졌다. 제사 밑천으로 4명을 따로 떼어 두었는데 이는 4남매 가운...
1545년 이은보(李殷輔) 처(妻) 이씨(李氏) 남매(男妹) 전민분깃문기(田民分衿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정창국, 이은보, 이씨, 이상림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45
1545년(인종1)이은보(李殷輔)의 처 이씨가 사망한 부모의 재산 가운데 전답을 친정의 언니, 여동생, 남동생과 함께 나누어 가진 상속문서이다. 서문에 뜻하지 않게 별세하셨다는 말이 보이고 셋째 딸은 아직 미혼으로 기록되었다. 막내아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씨가 후처임에도 이해 남편 이은보가 26세이니, 둘째 딸을 시집보내고 얼마 되지 ...
1552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고문서자료관
발급:신효,수취:이은보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52
1552년(명종7)이은보(李殷輔)가 신효(申孝)의 어머니로부터 밭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사당곡원(舍堂谷員)에 있는 옛집의 텃밭 5마지기와 구월(九月)로부터 산 밭 3마지기를 면포(綿布) 225필(疋)을 주고 샀다. 거래 계약서에는 어머니를 대신하여 아들 신효가 서명을 하였고, 또 다른 아들인 신경(申敬)이 이를 작성하였다.
1559년 이애(李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고문서자료관
발급:주씨,수취:이애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59
1559년(명종14) 첨지(僉知) 이애(李璦)가 전정랑(前正郞) 박전(朴全) 처 주씨(朱氏)로부터 전답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박전은 이때 죄를 지어 의금부(義禁府)에서 옥고를 치르고 있었다. 가족들과 도망을 치던 중에 체포되었기 때문에 그 사이 가산은 모두 탕진하여, 옥바라지할 돈도 없고 ...
1559년 이애(李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고문서자료관
발급:주씨,수취:이애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59
1559년(명종14) 첨지(僉知) 이애(李璦)가 전정랑(前正郞) 박전(朴全) 처 주씨(朱氏)로부터 전답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동일한 문서가 이애 후손가에 한 장 더 전한다. 같은 날짜에 작성된 동일한 거래 계약서이다. 단지 증인과 문서작성자만 차이가 날 뿐이다. 이때 박전은 죄를 지어 가족...
1560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고문서자료관
발급:이응성,수취:이은보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60
1560년(명종15)이은보(李殷輔)가 이응성(李應星)으로부터 논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이응성은 두 해에 걸친 흉년으로 곡식이 부족해지자 전답을 팔기에 이른 것이다. 논 4마지기를 면포(綿布) 12필에 팔기로 합의하고, 실제 논값으로는 벼 10섬과 면포 2필을 받았다. 면포 1필이 벼 한 섬, 논 1마지기는 면포 3필인 셈이니 ...
1570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고문서자료관
발급:진군령,수취:이은보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70
1570년(선조3)이은보(李殷輔)가 밭주인 진군령(秦群岭)으로부터 텃밭 20마지기를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진군령의 장인은 첩 예금(礼今)을 데리고 살면서 환곡(還穀)을 많이 받아쓰고는 갚지 않았다. 헌데 제사지낼 밑천으로 상속받은 밭은 또 다른 첩과 그 아들 개똥(介同)이 부담해야할 신역(身役)을 내기 위해 일찌감치 팔아버렸다....
1571년 박순수(朴舜壽)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고문서자료관
발급:박순수
/ 작성지역:영해부
/ 작성시기:1571
1571년(선조4) 밭주인 박순수(朴舜壽)가 진군령(秦群岭)으로부터 산 밭 한 마지기 반을 다시 파는 토지거래계약서이다. 이 밭이 너무 협소하여 경작하기 힘들자 팔아버린 것이다. 고급 면포(綿布)인 회봉목(回俸木) 2필(疋)과 보통 베 11필을 밭값으로 받았다. 문서가 일부 떨어져 나가 산 사람을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이 문서가 영해 인...
1
2
3
4
5
6
7
8
9
10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