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영남권 자료센터
호남권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서울특별시
강남구 (6)
강동구 (1)
강북구 (3)
강서구 (4)
광진구 (8)
구로구 (11)
금천구 (2)
노원구 (3)
도봉구 (1)
동대문구 (2)
동작구 (1)
마포구 (3)
서대문구 (4)
서초구 (6)
성동구 (1)
성북구 (82)
송파구 (1)
양천구 (11)
용산구 (1)
은평구 (2)
종로구 (11027)
중구 (317)
중랑구 (4)
광주광역시
광산구 (76)
남구 (16)
북구 (1)
서구 (1)
대구광역시
달서구 (2)
달성군 (186)
동구 (33)
북구 (5)
수성구 (3)
중구 (30)
대전광역시
대덕구 (106)
동구 (3)
유성구 (9)
중구 (23)
부산광역시
기장군 (10)
동구 (1)
동래구 (371)
사상구 (1)
사하구 (2)
수영구 (1)
중구 (1)
울산광역시
남구 (1)
울주군 (17)
중구 (4)
인천광역시
강화군 (80)
남동구 (1)
부평구 (8)
중구 (1)
강원도
강릉시 (197)
고성군 (69)
동해시 (20)
삼척시 (128)
양구군 (3)
양양군 (98)
영월군 (21)
원주시 (85)
인제군 (3)
정선군 (15)
철원군 (11)
춘천시 (190)
태백시 (2)
평창군 (19)
홍천군 (14)
화천군 (3)
횡성군 (38)
경기도
가평군 (3)
고양시 (63)
과천시 (5)
광명시 (2)
광주시 (67)
구리시 (29)
군포시 (1)
김포시 (8)
남양주시 (24)
수원시 (32)
시흥시 (2)
안산시 (65)
안성시 (22)
양주시 (56)
양평군 (29)
여주시 (6)
연천군 (11)
용인시 (60)
의정부시 (3)
이천시 (56)
파주시 (37)
평택시 (4)
포천시 (12)
화성시 (17)
경상남도
거제시 (161)
거창군 (279)
고성군 (11)
김해시 (176)
남해군 (61)
마산시 (7)
밀양시 (270)
사천시 (25)
산청군 (152)
양산시 (11)
의령군 (25)
진주시 (506)
진해시 (5)
창녕군 (15)
창원시 (27)
통영시 (18)
하동군 (69)
함안군 (164)
함양군 (194)
합천군 (252)
경상북도
경산시 (94)
경주시 (2186)
고령군 (22)
구미시 (227)
군위군 (35)
김천시 (51)
문경시 (46)
봉화군 (240)
상주시 (578)
성주군 (309)
안동시 (3649)
영덕군 (781)
영양군 (312)
영주시 (256)
영천시 (254)
예천군 (250)
울진군 (48)
의성군 (175)
청도군 (91)
청송군 (58)
칠곡군 (266)
포항시 (94)
전라남도
강진군 (324)
고흥군 (219)
곡성군 (189)
광양시 (134)
구례군 (340)
나주시 (703)
담양군 (255)
목포시 (5)
무안군 (112)
보성군 (1374)
순천시 (282)
신안군 (231)
여수시 (136)
영광군 (1363)
영암군 (1072)
완도군 (52)
장성군 (458)
장흥군 (588)
진도군 (32)
함평군 (198)
해남군 (1327)
화순군 (442)
전라북도
고창군 (499)
군산시 (128)
김제시 (519)
남원시 (545)
무주군 (169)
부안군 (1175)
순창군 (452)
완주군 (324)
익산시 (235)
임실군 (654)
장수군 (118)
전주시 (327)
정읍시 (587)
진안군 (350)
충청남도
계룡시 (13)
공주시 (60)
금산군 (19)
논산시 (56)
당진시 (3)
보령시 (12)
부여군 (57)
서산시 (117)
서천군 (5)
아산시 (104)
연기군 (16)
예산군 (58)
천안시 (19)
청양군 (107)
태안군 (1)
홍성군 (24)
충청북도
괴산군 (17)
단양군 (15)
보은군 (21)
영동군 (15)
옥천군 (16)
음성군 (3)
제천시 (30)
진천군 (3)
청원군 (1)
청주시 (23)
충주시 (2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08)
제주시 (556)
홈
>
디렉토리분류
>
지역분류
> 강릉시
총
197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자료정렬 :
=== 선택 ===
자료명
작성시기
구축시기
유형
주제
소장처
시기
권역
전체
국왕·왕실
정치·행정
법제
경제
사회
교육·문화
종교·풍속
개인
전체
전체
문중
서원·향교
박물관·도서관
공공기관
해외
기타
개인
전체
전체
삼국․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
기타
전체
전체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전체
규장각
장서각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해외권
전체
고서
고문서
전체
전체
1469년 상원사(上院寺) 사급입안(賜給立案)
/ 고문서자료관
발급:강릉대도호부,수취:상원사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469
1469년강릉대도호부사가 세금을 면제해주고 저수지를 하사하는 문서를 상원사에 내렸다. 강릉대도호부사가 이러한 처분을 내린 것은 예종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중병에 걸린 세조를 위해 치유를 기원하는 기도를 올렸던 상원사는 병세가 호전되자 세조와 그 왕비의 깊은 신임을 얻게 되었다. 예종의 명령도 이러한 신임의 연장선에서 나온 것이다.
1477년 상원사(上院寺) 입안(立案)
/ 고문서자료관
발급:강릉대도호부,수취:상원사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477
상원사와 낙산사는 각각 세조와 예종을 위한 사찰로 정해져 나라로부터 많은 재물을 내려 받은 부유한 절이었다. 세조의 존경과 신임을 받던 학열(學悅)이라는 큰 스님을 중심으로 두 절이 운영되었으나, 이제 이 스님이 늙고 병마저 들어 두 절의 운영권을 두고 내부의 갈등이 불거졌다. 즉, 세력 있는 승려들이 두 절을 마음대로 하려고 하자, 수행...
1654년 강릉대도후부(江陵大都護府) 첩정(牒呈)
/ 고문서자료관
발급:강릉대도후부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654
1735년 김태주(金泰柱) 준호구(準戶口)
/ 강원권역
발급:강릉대도호부,수취:김태주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735
1735년 강릉도호부(江陵都護府)에서 북이리면(北二里面) 산황리(山皇里)에 거주하는 유학 김태주(金泰柱)에게 발급해준 준호구로 오늘날의 호적등본에 해당되는 문서이다. 김태주(金泰柱)는 당시 나이 69세로 본관은 강릉이다. 가족 구성원으로는 어머니, 처(妻), 그리고 동생이 2명 있다. 어머니 숙부인(淑夫人) 최씨(崔氏)의 나이는 95세이...
1744년 김태주(金泰柱) 호구단자(戶口單子)
/ 강원권역
발급:김태주,수취:강릉대도호부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744
1744년 북이리면(北二里面) 산황리(山篁里)에 사는 유학(幼學) 김태주(金泰柱)가 가족원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이다. 당시 김태주의 나이는 78세였고 처 강릉최씨(江陵崔氏)는 사망하였다. 함께 사는 아들 유학(幼學) 김창재(金昌載)는 31세이다.
1747년 김태주(金泰柱) 준호구(準戶口)
/ 강원권역
발급:강릉대도호부,수취:김태주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747
1747년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북면이리(北面二里) 산황리(山皇里)에 거주하는 유학(幼學) 김태주(金泰柱)가 발급받은 준호구이다. 당시 김태주(金泰柱)의 나이는 81세이다. 준호구에는 김태주(金泰柱)의 사조(四祖)와 아들 김창재(金昌載)가 기재되어 있다. 처 최씨는 1744년 준호구에 사망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어, 처와 처의 사조(四...
1753년 김창재(金昌載) 준호구(準戶口)
/ 강원권역
발급:강릉대도호부,수취:김창재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753
이 문서는 1753년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북면이리(北面二里) 산황리(山皇里)에 거주하는 유학(幼學) 김창재(金昌載)가 받은 준호구이다. 문서에 따르면 김창재(金昌載)의 당시 나이는 40세이다. 김창재(金昌載)의 처(妻) 안씨(安氏)는 32세이며 본관은 순흥이다. 삼촌 김형주(金衡柱)와 김항주(金恒柱)가 기재되어 있다. 소유노비는 3...
1755년 유정원(柳正源)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유정원
/ 작성지역:강원도 강릉대호부
/ 작성시기:1755
1755년 6월 14일, 유정원이 동당 시관으로 강릉에 간 사이 아들에게 임지의 관리를 당부하는 내용의 편지이다. 발신자는 먼저 수신자가 보내온 편지로부터 잠자리와 음식이 평안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발신자는 떠나오던 날 묵은 곳, 이튿날 큰비에도 지체하지 않고 길을 떠났던 일, 비 때문에 겪은 고생, 시관을 접대해야 할...
1756년 김창재(金昌載) 준호구(準戶口)
/ 강원권역
발급:강릉대도호부,수취:김창재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756
1756년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북면이리(北面二里) 산황리(山皇里)에 거주하는 유학(幼學) 김창재(金昌載)가 발급받은 준호구이다. 당시 김창재(金昌載)의 나이는 43세이고 처(妻) 안씨(安氏)는 나이 35세이며 본관은 순흥이다. 삼촌 김형주(衡柱)와 숙모 곽씨가 함께 기재되어 있다.
1756년 윤덕성(尹德誠)의 준호구
/ 강원권역
발급:강릉대도호부,수취:윤덕성
/ 작성지역:강릉대도호부
/ 작성시기:1756
이 문서는 1756년(영조 32)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에서 유학(幼學) 윤덕성(尹德誠)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문서에 따르면 윤덕성은 우계현(羽溪縣) 계남리(溪南里) 제1통 제3호에서 처 안동권씨(安東權氏)와 아들 응운(應運) 내외와 거주하였다. 당시 윤덕성의 나이는 72세이고, 을축년(1685)생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
1
2
3
4
5
6
7
8
9
10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