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영남권 자료센터
호남권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서울특별시
강남구 (6)
강동구 (1)
강북구 (3)
강서구 (4)
광진구 (8)
구로구 (11)
금천구 (2)
노원구 (3)
도봉구 (1)
동대문구 (2)
동작구 (1)
마포구 (3)
서대문구 (4)
서초구 (6)
성동구 (1)
성북구 (82)
송파구 (1)
양천구 (11)
용산구 (1)
은평구 (2)
종로구 (11027)
중구 (317)
중랑구 (4)
광주광역시
광산구 (76)
남구 (16)
북구 (1)
서구 (1)
대구광역시
달서구 (2)
달성군 (186)
동구 (33)
북구 (5)
수성구 (3)
중구 (30)
대전광역시
대덕구 (106)
동구 (3)
유성구 (9)
중구 (23)
부산광역시
기장군 (10)
동구 (1)
동래구 (371)
사상구 (1)
사하구 (2)
수영구 (1)
중구 (1)
울산광역시
남구 (1)
울주군 (17)
중구 (4)
인천광역시
강화군 (80)
남동구 (1)
부평구 (8)
중구 (1)
강원도
강릉시 (197)
고성군 (69)
동해시 (20)
삼척시 (128)
양구군 (3)
양양군 (98)
영월군 (21)
원주시 (85)
인제군 (3)
정선군 (15)
철원군 (11)
춘천시 (190)
태백시 (2)
평창군 (19)
홍천군 (14)
화천군 (3)
횡성군 (38)
경기도
가평군 (3)
고양시 (63)
과천시 (5)
광명시 (2)
광주시 (67)
구리시 (29)
군포시 (1)
김포시 (8)
남양주시 (24)
수원시 (32)
시흥시 (2)
안산시 (65)
안성시 (22)
양주시 (56)
양평군 (29)
여주시 (6)
연천군 (11)
용인시 (60)
의정부시 (3)
이천시 (56)
파주시 (37)
평택시 (4)
포천시 (12)
화성시 (17)
경상남도
거제시 (161)
거창군 (279)
고성군 (11)
김해시 (176)
남해군 (61)
마산시 (7)
밀양시 (270)
사천시 (25)
산청군 (152)
양산시 (11)
의령군 (25)
진주시 (506)
진해시 (5)
창녕군 (15)
창원시 (27)
통영시 (18)
하동군 (69)
함안군 (164)
함양군 (194)
합천군 (252)
경상북도
경산시 (94)
경주시 (2186)
고령군 (22)
구미시 (227)
군위군 (35)
김천시 (51)
문경시 (46)
봉화군 (240)
상주시 (578)
성주군 (309)
안동시 (3649)
영덕군 (781)
영양군 (312)
영주시 (256)
영천시 (254)
예천군 (250)
울진군 (48)
의성군 (175)
청도군 (91)
청송군 (58)
칠곡군 (266)
포항시 (94)
전라남도
강진군 (324)
고흥군 (219)
곡성군 (189)
광양시 (134)
구례군 (340)
나주시 (703)
담양군 (255)
목포시 (5)
무안군 (112)
보성군 (1374)
순천시 (282)
신안군 (231)
여수시 (136)
영광군 (1363)
영암군 (1072)
완도군 (52)
장성군 (458)
장흥군 (588)
진도군 (32)
함평군 (198)
해남군 (1327)
화순군 (442)
전라북도
고창군 (499)
군산시 (128)
김제시 (519)
남원시 (545)
무주군 (169)
부안군 (1175)
순창군 (452)
완주군 (324)
익산시 (235)
임실군 (654)
장수군 (118)
전주시 (327)
정읍시 (587)
진안군 (350)
충청남도
계룡시 (13)
공주시 (60)
금산군 (19)
논산시 (56)
당진시 (3)
보령시 (12)
부여군 (57)
서산시 (117)
서천군 (5)
아산시 (104)
연기군 (16)
예산군 (58)
천안시 (19)
청양군 (107)
태안군 (1)
홍성군 (24)
충청북도
괴산군 (17)
단양군 (15)
보은군 (21)
영동군 (15)
옥천군 (16)
음성군 (3)
제천시 (30)
진천군 (3)
청원군 (1)
청주시 (23)
충주시 (2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08)
제주시 (556)
홈
>
디렉토리분류
>
지역분류
> 서귀포시
총
108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자료정렬 :
=== 선택 ===
자료명
작성시기
구축시기
유형
주제
소장처
시기
권역
전체
국왕·왕실
정치·행정
법제
경제
사회
교육·문화
종교·풍속
개인
전체
전체
문중
서원·향교
박물관·도서관
공공기관
해외
기타
개인
전체
전체
삼국․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
기타
전체
전체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전체
규장각
장서각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해외권
전체
고서
고문서
전체
전체
1771년 김우택(金遇澤)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대정현,수취:김우택
/ 작성지역:대정현
/ 작성시기:1771
1771년 1월 대정현(大靜縣)에서 색달(塞達里)의 진무(鎭撫) 김우택(金遇澤)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1780년 김덕항(金德恒)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대정현,수취:김덕항
/ 작성지역:대정현
/ 작성시기:1780
1780년 1월에 대정현감(大靜縣監)이 관할 하예래리에 사는 김덕항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하예래리는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예래동이다.
1783년 동성리(東城里) 호적중초(戶籍中草)
/ 호남권역
작성지역:제주 대정현 동성리
/ 작성시기:1783
1783년(가경 48년)제주도 대정현 동성리에서 리내(里內) 호수(戶數)와 인구현황을 파악하여 기록한 장부이다. 동성리는 1879년(광서 5년, 고종 16년)에 안성리로 마을 명칭이 변경되었다. 따라서 고종 16년 이전의 호적중초에는 "동성리 호적중초"라 표기되어 있지만 그 이후 호적중초에는 "안성리 호적중초"라 표기되어 있다. 1783년...
1789년 동성리(東城里) 호적중초(戶籍中草)
/ 호남권역
작성지역:제주 대정현 동성리
/ 작성시기:1789
1789년(건륭 54년)제주도 대정현 동성리에서 리내(里內) 호수(戶數)와 인구현황을 파악하여 기록한 장부이다. 동성리는 1879년(광서 5년, 고종 16년)에 안성리로 마을 명칭이 변경되었다. 따라서 고종 16년 이전의 호적중초에는 "동성리 호적중초"라 표기되어 있지만 그 이후 호적중초에는 "안성리 호적중초"라 표기되어 있다. 1789년...
1792년 정의현(旌義縣) 토산리(兎山里) 강귀보(康貴寶)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정의현,수취:강귀보
/ 작성지역:정의현
/ 작성시기:1792
1792년 정의현(旌義縣)에서 토산리(兎山里)에 사는 유생 강귀보(康貴寶)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강귀보의 본관은 함덕(咸德)이라 되어있는데, 현재 제주지역에서는 ‘강(康)’씨의 본을 ‘함덕’으로 사용하는 집안은 없고 모두 ‘신천(信川)’을 사용하고 있다.
1798년 김의태(金宜兌) 준호구(戶口單子)의 부(部)
/ 호남권역
발급:대정현,수취:김의태
/ 작성지역:대정현
/ 작성시기:1798
1798년 9월에 대정현(大靜縣)에서 하예래리(下猊來里)에 사는 전장관(前將官) 김의태(金宜兌)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의 일부이다.
1801년 김의태(金宜兌) 준호구(準戶口)의 부(部)
/ 호남권역
발급:대정현,수취:김의태
/ 작성지역:대정현
/ 작성시기:1801
1801년 1월에 대정현(大靜縣)에서 하예래리(下猊來里)에 사는 전장관(前將官) 김의태(金宜兌)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의 일부이다.
1804년 대포리(大浦里) 호적중초(戶籍中草)
/ 호남권역
작성지역:제주도 대정현 대포리
/ 작성시기:1804
위 호적중초는 1804(가경 9)제주도 대정현 대포리에서 리내 호수와 인구현황을 기록한 장부로서, 현존하는 대포리37책의 호적 가운데 시기적으로 가장 오래된 호적중초이다. 1804년리내 호수는 84호(17통 4호)이고, 도합 인구수는 368구로서 남정 159구-여정 209구로 표기되어 있다.각 호의 내용은 호주의 직역, 성명, 나이, 본관...
1807년 대포리(大浦里) 호적중초(戶籍中草)
/ 호남권역
작성지역:제주도 대정현 대포리
/ 작성시기:1807
위 호적중초는 1807(가경 12)제주도 대정현 대포리에서 리내 호수와 인구현황을 기록한 호적중초이다.1807년리내 호수는 84호(17통 4호)이고, 도합 인구수는 375구로서 남정 163구-여정 212구로 표기되어 있다. 이전 식년인 1804년보다 7명이 증가된 것으로 보이며, 1807년당시 호당 평균 인구수는 약 4.46구임을 알 수 ...
1807년 동성리(東城里) 호적중초(戶籍中草)
/ 호남권역
작성지역:제주 대정현 동성리
/ 작성시기:1807
1807년(가경 12년)제주도 대정현 동성리에서 리내(里內) 호수(戶數)와 인구현황을 파악하여 기록한 장부이다. 동성리는 1879년(광서 5년, 고종 16년)에 안성리로 마을 명칭이 변경되었다. 따라서 고종 16년 이전의 호적중초에는 "동성리 호적중초"라 표기되어 있지만 그 이후 호적중초에는 "안성리 호적중초"라 표기되어 있다. 1807년...
1
2
3
4
5
6
7
8
9
10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