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 Open API
  • 사이트맵
  • 이용안내

한국학 자료포털

통합검색

  • 상세검색
  • 문자입력기
> 고지명용례 > 행정구역분류
  총 18054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번호 고지명(동여도,19C중반) 유형분류 행정구역(도-군현) 현대지명 관련자료 고지도 지리지
141다압(多鴨)행정지명-방면전라도-광양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142단계(丹溪)행정지명-고현경상도-단성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143단구(丹丘)인문지명-교통강원도-원주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단구동 
144단밀(丹密)인문지명-경제경상도-상주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145단서(丹西)행정지명-방면경상도-상주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146단성(丹城)행정지명-주현경상도-단성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관련목록 49건
단성군읍지(丹城郡邑誌)
1832년 정해선(鄭海善) 등(等) 향교회원(鄕校會員) 상서(上書)
1832년 권사엄(權思儼) 외(外) 상서(上書)
1854년 권병천(權秉天) 등 상서(上書)
1867년 권병천(權秉天) 등 상서(上書)
1736년 단성현감(丹城縣監) 첩정(牒呈)
1826년 단성현감(丹城縣監) 절목(節目)
1881년 향회회원(鄕會會員) 품목(稟目)
1885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완문(完文)
1494년 이애(李璦) 남매 화회문기(和會文記)
단성향교(丹城鄕校) 통문(通文)
1834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통문(通文)
1893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통문(通文)
1740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성묘개건부조교생안(聖廟改建扶助校生案)
1822~1938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시도기(時到記)
1826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성묘개건부조교생안(聖廟改建扶助校生案)
1835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시소선접정간책(試所先接正間冊)
1841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성묘중수시(聖廟重修時) 각항조례(各項條例)
1846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유생안(鄕校儒生案)
1847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유생안(鄕校儒生案)
1847~1879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사문부거유생정간책(赦文負去儒生井間冊)
1848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유생안(鄕校儒生案)
1866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연계실수계안(鄕校蓮桂室修稧案)
1882년 단성향교(丹城鄕校) 단성향교노비재직안(丹城鄕校奴婢齋直案)
1884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유생안(鄕校儒生案)
1886~1887년 단성향교(丹城鄕校) 강록(講錄)
1909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추향각하기(秋享各下記)
1910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재산목록(鄕校財産目錄)
1912년 단성향교(丹城鄕校) 단성향안(丹城鄕案)
1912년 단성향교(丹城鄕校) 단성연계안(丹城蓮桂案)
1914~1918년 단성향교(丹城鄕校) 단성향교용하기(丹城鄕校用下記)
1914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문배원김수입책(鄕校門排元金收入冊)
1919~1922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용하기(鄕校用下記)
1924~1925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시도기(時到記)
1934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시도기(時到記)
1941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교기구목록(鄕校器具目錄)
1953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정조할당원부(正租割當原簿)
1953년 단성향교(丹城鄕校) 향안실수리분배기(鄕案室修理分排記)
1959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재산목록(財産目錄)
1966년 단성향교(丹城鄕校) 용하기(用下記)
1480년 김광려(金光礪) 남매 분깃문기(分衿文記)
기정진(奇正鎭)의 『노사선생문집(蘆沙先生文集)』
강교석(姜敎錫) 서간(書簡)
1898년 김진호(金鎭祜) 서간(書簡)
1925년 김수로(金壽老) 서간(書簡)
류만형(柳萬馨) 만시(輓詩)
1910년 권상철(權相喆)외 2인 서간(書簡)
1924년 배산유회(培山儒會) 통문(通文)
성재선생문집(性齋先生文集)
 
147단양(丹陽)행정지명-주현충청도-단양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148단천(端川)행정지명-주현함경도-단천함경남도 단천시 
149단촌(丹村)행정지명-방면경상도-의성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150달성(達城)인문지명-군사경상도-대구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관련목록 41건
1842년 박광석(朴光錫) 서간(書簡)
1725년 권상일(權相一) 서간(書簡)
1725년 권상일(權相一) 서간(書簡)
1865년 채준도(蔡準道) 서간(書簡)
1867년 채준도(蔡準道) 서간(書簡)
채헌식(蔡憲植) 평수계안(萍水契案) 서문(序文)
채헌식(蔡憲植) 협약안(協約案) 서문(序文)
이병운(李炳運) 무태동계첩(無怠洞約契帖) 서문(序文)
이병운(李炳運) 경인계첩(景仁契帖) 서문(序文)
향약계안범례(鄕約契案凡例)
백운정수계첩서(白雲亭修契帖序)
보인계안서(輔仁契案序)
금란계첩서(金蘭契帖序)
진수계첩서(晋修契帖序)
17세기 초 김충선(金忠善) 내외자손급동리인약조(內外子孫及洞里人約條)
17세기 중엽 김진영(金振英) 동약규(洞約規)
17세기 중엽 김진영(金振英)의 백록동향음례서(白鹿洞鄕飮禮序)
17세기 중엽 김진영(金振英)의 동약서(洞約序)
1886년 삼가수계(三家修契) 서문(序文)
1890년 족계 서문
1897년 동란계(同蘭契) 서문(序文)
박승동(朴昇東)의 금란계첩(金蘭契帖) 서문(序文)
晋修契帖序
거창(居昌) 벽계정유계안(碧桂亭儒契案) 서문(序文)
김치중(金致中)을 존모(尊慕)하여 만든 우모계안(寓慕契案)의 서문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14년 이범익(李範益)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14년 김은식(金殷埴)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18년 김관식(金觀埴) 「향교동서무중수기(鄕校東西廡重修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22년 김희근(金熙根) 「중수찬성기(重修贊成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31년 신현구(申鉉求)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31년 채우석(蔡禹錫)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42년 최항묵(崔恒默) 「대성전중수기(大成殿重修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82년 이헌주(李憲柱) 「향교중수사실기(鄕校重修事實記)」
구당선생집(久堂先生集)
약산만고(藥山漫稿)
중재문집(重齋文集)
용사세강록(龍蛇世講錄)
이기휘편(理氣彙編)
제양록(制養錄)
대산선생실기(大山先生實紀)
충숙공실기(忠肅公實記)
151담양(潭陽)행정지명-주현전라도-담양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관련목록 87건
담양군읍지(潭陽郡邑誌)
담양부읍지(潭陽府邑誌)
1829년 정재의(鄭在義) 등 상서(上書)
1698년 이택(李澤) 초사(招辭)
1698년 이숙(李淑), 이태상(李泰祥) 초사(招辭)
1698년 입안(立案)
1698년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1790년 담양유학(潭陽幼學) 이봉서(李鳳瑞) 등 통문(通文)
1826년 담양유학(潭陽幼學) 송유신(宋維新) 등 통문(通文)
1435년 장안량(張安良) 소지(所志)
1435년 장안량(張安良) 소지(所志)
1804년 최정인(崔廷仁) 준호구(準戶口)
1758년 이석희(李錫禧) 서간(書簡) 1
1758년 이석희(李錫禧) 서간(書簡) 2
1811년 이광헌(李光憲) 서간(書簡) 4
1811년 이광헌(李光憲) 서간(書簡) 1
1811년 이광헌(李光憲) 서간(書簡) 2
1811년 이광헌(李光憲) 서간(書簡) 3
1574년 유희춘(柳希春) 일기(日記) 초록(抄錄)
1822년 송유신(宋維新) 등 상서(上書)
1828년 유택환(柳宅煥) 등 단자(單子)
1830년 유택환(柳宅煥) 등 소지(所志)
1833년 유월금(六月金) 소지(所志)
1834년 유택환(柳宅煥) 소지(所志)
1835년 유택환(柳宅煥) 등 소지(所志)
1839년 유택환(柳宅煥) 등 소지(所志)
1843년 유경두(柳慶斗) 소지(所志)
1844년 유경두(柳慶斗) 소지(所志)
1847년 의암서원(義巖書院) 송흔(宋焮) 등 상서(上書)
1848년 유정환(柳正煥) 등 소지(所志)
1851년 유경량(柳慶亮) 소지(所志)
1851년 유정환(柳正煥) 등 소지(所志)
1851년 유경인(柳慶寅) 등 소지(所志)
1851년 유정환(柳正煥) 등 상서(上書)
1851년 유경인(柳慶寅) 등 소지(所志)
1852년 유경인(柳慶寅) 등 소지(所志)
1856년 유경운(柳慶雲) 소지(所志)
1857년 유경운(柳慶雲) 등 소지(所志)
1858년 유경선(柳慶善) 등 소지(所志)
1858년 유경선(柳慶善) 등 소지(所志)
1858년 유경선(柳慶善) 등 소지(所志)
1859년 유경선(柳慶善) 등 소지(所志)
1859년 유경선(柳慶善) 등 소지(所志)
1860년 나의성(羅義成) 등 상서(上書)
1862년 유경집(柳慶集) 등 소지(所志)
1862년 유우행(柳友行) 등 소지(所志)
1863년 유경집(柳慶集) 등 소지(所志)
1864년 유경집(柳慶集) 등 소지(所志)
1869년 김영순(金永淳) 등 상서(上書)
1879년 유경집(柳慶集) 소지(所志)
1879년 유경집(柳慶集) 소지(所志)
1889년 고응주(高應柱) 등 상서(上書)
1845년 의암서원(義巖書院) 여제영(呂濟永) 등 품목(稟目)
1846년 의암서원(義巖書院) 김원(金源) 등 품목(稟目)
1859년 의암서원(義巖書院) 품목(稟目)
1867년 향회소(鄕會所) 품목(稟目)
1867년 향회소(鄕會所) 품목(稟目)
1867년 향회소(鄕會所) 품목(稟目)
1836년 이석추(李碩秋) 다짐(侤音)
1836년 유경두(柳慶斗) 소지(所志)
1839년 유택환(柳宅煥) 등 소지(所志)
1839년 진동엽(陳東燁) 다짐(侤音)
1842년 이신근(李新根) 등 수기(手記)
1844년 진동엽(陳東燁) 다짐(侤音)
1857년 유경인(柳慶寅) 등 수표(手標)
1857년 박계표(朴桂表) 다짐(侤音)
1862년 유영식(柳渶植) 수표(手標)
1884년 담양부사(潭陽府使) 완문(完文)
1886년 담양부사(潭陽府使) 완문(完文)
1580년 유경렴(柳景濂) 화회문기(和會文記)
1602년 유경렴(柳景濂) 별급문기(別給文記)
1844년 유경두(柳慶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573년 이형(李蘅) 토지방매 명문(明文)
1905년 이승구(李承龜) 서간(書簡)
1905년 이승구(李承龜) 서간(書簡)
1916년 이필선(李馝善) 서간(書簡)
1919년 이건수(李建秀) 서간(書簡)
의암서원영건시유사기(義巖書院營建時有司記)
의암서원원생안(義巖書院院生案)
대동계봉단책(大同禊捧單冊)
흥학계안(興學禊案)
1880년 이승학(李承鶴) 제문(祭文)
양산보(梁山甫)의 가집 『소쇄원사실(瀟灑園事實)』
기우만(奇宇萬)의 『송사집(松沙集)』
명곡유고(明谷遺稿)
현수제승법수(賢首諸乘法數)
조선세가호보(朝鮮世家號譜)
152답내(畓內)행정지명-방면전라도-고부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관련목록 39건
1717년 김덕휘(金德徽) 호구단자(戶口單子)
1780년 김처운(金處運) 호구단자(戶口單子)
1783년 김처운(金處運) 호구단자(戶口單子)
1786년 김제운(金濟運) 호구단자(戶口單子)
1786년 김처운(金處運) 호구단자(戶口單子)
1789년 김처운(金處運) 호구단자(戶口單子)
1795년 김처운(金處運) 호구단자(戶口單子)
1798년 김처운(金處運) 호구단자(戶口單子)
1801년 김처운(金處運) 호구단자(戶口單子)
1804년 김일상(金一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13년 김일상(金一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16년 김일상(金一相) 준호구(准戶口)
1819년 김일상(金一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22년 김일상(金一相) 준호구(準戶口)
1825년 김일상(金一相) 준호구(準戶口)
1828년 김일상(金一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31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34년 김일상(金一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34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37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40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43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46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49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52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55년 김흥상(金興相) 호구단자(戶口單子)
1861년 김환룡(金煥龍) 호구단자(戶口單子)
1864년 김환룡(金煥龍) 호구단자(戶口單子)
1870년 김환룡(金煥龍) 호구단자(戶口單子)
1873년 김원재(金元載) 호구단자(戶口單子)
1873년 김환룡(金煥龍) 호구단자(戶口單子)
1876년 김원재(金元載) 호구단자(戶口單子)
1879년 김원재(金元載) 호구단자(戶口單子)
1882년 김원재(金元載) 호구단자(戶口單子)
1885년 김원재(金元載) 호구단자(戶口單子)
1888년 김원재(金元載) 호구단자(戶口單子)
1891년 김원재(金元載) 호구단자(戶口單子)
1894년 김원재(金元載) 호구단자(戶口單子)
1897년 김원재(金元載) 호적표(戶籍表)
153당진(唐津)행정지명-주현충청도-당진충청남도 당진시 
154대곡(大谷)행정지명-방면경상도-의령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관련목록 65건
상서(上書) 초(草)
인조 연간 하변(河忭), 하달영(河達永) 등 원정(原情) 초(草)
1667년 전후 의송(議送) 초(草)
1640년대 초 소지(所志)
1640년대 초 소지(所志) 초(草)
18세기 초반 소지(所志) 초(草)
18세기 초반 소지(所志) 초(草)
18세기 초반 소지(所志) 초(草)
하진영(河鎭永) 원정(原情) 초(草)
이명범(李命範) 등 상서(上書)
1641년 하변(河忭) 소지(所志)
1641년 하변(河忭) 소지(所志)
1641년 하변(河忭), 하달영(河達永) 등 소지(所志)
1642년 하변(河忭), 하달영(河達永) 등 소지(所志)
1642년 하변(河忭), 하달영(河達永) 등 의송(議送) 초(草)
1667년 하명(河洺), 하달한(河達漢) 등 의송(議送)
1678년 하현(河灦) 소지(所志)
1686년 하현(河灦) 소지(所志)
1718년 하윤관(河潤寬) 등 의송(議送)
1718년 하윤관(河潤寬) 등 소지(所志)
1718년 하윤관(河潤寬) 등 소지(所志)
1719년 하윤관(河潤寬) 등 소지(所志)
1720년 하윤관(河潤寬) 등 소지(所志)
1720년 하윤관(河潤寬) 등 소지(所志)
1720년 하윤관(河潤寬) 등 소지(所志)
1805년 하진백(河鎭伯) 상서(上書)
1805년 하태범(河泰範) 상서(上書)
1805년 강일(姜馹) 등 상서(上書)
1805년 이원묵(李元黙) 등 상서(上書)
1805년 하제범(河濟範) 소지(所志)
1871년 하복원(河復源), 하계룡(河啓龍) 등 오방장초(梧坊狀草)
1906년 하계룡(河啓龍) 등 상서(上書)
1906년 하계룡(河啓龍) 등 소지(所志)
1906년 하계룡(河啓龍) 등 소지(所志)
1683년 하현(河灦), 하속(河涑) 등 문중회문(門中回文)
1962년 하효준(河孝俊), 하효상(河孝常) 등 청첩장
객기록(客記錄)
하협(河悏), 하윤관(河潤寬), 하진백(河鎭伯) 등 세계약전(世系略傳)
하현(河灦) 하현약전(河灦略傳)
정조 연간 하윤관(河潤寬) 시(詩)
1708년 하응운(河應運) 문중관련기록-서책치부(書冊置簿)
1788년 하진태(河鎭兌), 하익범(河益範) 봉선(奉先)
1796년 애감록(哀感錄)
1799년 하윤관(河潤寬), 하진백(河鎭伯) 등 제서계서당(題西溪書堂)
1836년 애감록(哀感錄)
1883년 애감록(哀感錄)
고려 말 하을지(河乙沚) 하상국춘정시서(河相國春亭詩序)
고려 말 하거원(河巨源) 하하공생자시서(賀河公生子詩序)
가장(家狀)
17세기 하사간행장(河司諫行狀)
17세기 창주행록(滄洲行錄)
17세기 선고성균진사부군행적략(先考成均進士府君行蹟略)
17세기 성균진사하공휘협갈명(成均進士河公諱悏碣銘)
17세기 진사하공묘갈명(進士河公墓碣銘)
19세기 성균진사단지선생하공행장(成均進士丹池先生河公行狀)
영조·정조 연간 고조고구이당부군행적(高祖考具邇堂府君行蹟)
영조·정조 연간 증조고행적(曾祖考行蹟)
정조 연간 선비유인풍천노씨행적(先妣孺人豊川盧氏行蹟)
정조 연간 선고처사부군행적(先考處士府君行蹟)
1900년대 초반 처사죽와하공묘갈명(處士竹窩河公墓碣銘)
무오년 하일호(河一浩) 죽와문집서(竹窩文集序)
1691년 하형하(河亨夏) 제문(祭文)
1790년 신재우경(新齋寓警)
1904년 하협(河悏) 단지선생하공실기발(丹池先生河公實紀跋)
1943년 하정근(河貞根) 선적유편서(先蹟類編序)
155대곡(大谷)행정지명-방면전라도-보성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156대구(大邱)행정지명-주현경상도-대구대구광역시 중구
관련목록 132건
대구부읍지(大邱府邑誌)
대구부읍지(大邱府邑誌)
영남감영사례(嶺南監營事例)
대구부사례(大邱府事例)
대구부읍지(大邱府邑誌)
영지요선(嶺誌要選)
1525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1787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金) 계본(啓本)
1834년 대구(大邱) 최상룡(崔象龍) 등 상서(上書)
1834년 대구(大邱) 박이탄(朴履坦) 등 상서(上書)
1839년 대구(大邱) 유문규(柳文奎) 등 상서(上書)
1839년 대구(大邱) 유문규(柳文奎) 등 상서(上書)
1839년 대구(大邱) 유영진(柳永震) 등 상서(上書)
1840년 대구(大邱) 유상권(柳相權) 등 상서(上書)
1842년 대구(大邱) 유이신(柳爾新) 등 상서(上書)
1846년 대구(大邱) 유상두(柳相斗) 등 상서(上書)
1856년(?) 한덕충(韓德忠) 소지(所志)
1878년 최수발(崔秀發) 등 상서(上書)
1889년 경상감사(慶尙監司) 계(啓)
1900년 이중모(李仲模) 고소장(告訴狀)
1900년 이중모(李仲模) 고소장(告訴狀)
1900년 이중모(李仲模) 고소장(告訴狀)
광무 연간 탁지부(度支部) 지령(指令)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관(關)
임진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감결(甘結)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겸(兼) 순찰사(巡察使) 관(關)
1744년 겸사(兼使) 전령(傳令)
1746년 도순사(都巡使) 전령(傳令)
1775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관(關)
1778년 영남겸사(嶺南兼使) 전령(傳令)
1879년 대구영사(大邱營使) 전령(傳令)
을유년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완문(完文)
신묘년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완문(完文)
신묘년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완문(完文)
1566년 입안(立案)
1631년 이시청(李時淸) 처(妻) 박씨(朴氏) 완문(完文)
1631년 이시청(李時淸) 처(妻) 박씨(朴氏) 완문(完文)
1744년 대구부(大邱府) 준호구(準戶口)
1786년 김낙행(金樂行) 준호구(準戶口)
1875년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완문(完文)
1897년 완문(完文)
대구(大邱) 사림(士林) 통문(通文)
1899년 대구향교(大邱鄕校) 통문(通文)
1924년 대구향교(大邱鄕校) 통문(通文)
영남접왜식례개이정등록(嶺南接倭式例改釐正謄錄)
1804년 김낙일(金洛一) 소지(所志)
1687년 선교랑(宣敎郞) 최경함(崔慶涵) 준호구(準戶口)
1720년 최정석(崔鼎錫) 준호구(準戶口)
1792년 유학 최식(崔湜) 준호구(準戶口)
1761년 관찰사(觀察使) 관문(關文)
1815년 이존수(李存秀) 서간(書簡)
1821년 이재수(李在秀) 서간(書簡)
1838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관(關)
1858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관(關)
1730년 비주(婢主) 이순흥(<인명>李順興) 초사(招辭)
1730년 증인(證人) 성진철(成進哲) 등 초사(招辭)
1730년 김용이(金龍伊) 입안(立案)
1897년 대구향교(大邱鄕校) 통문(通文)
1897년 대구(大邱) 이락서당(伊洛書堂) 통문(通文)
모당일기(慕堂日記)
◯◯년 최주진(崔周鎭) 서간(書簡)
○○년 최주진(崔周鎭) 서간(書簡)
1846년 최상룡(崔象龍) 서간(書簡)
1852년 박철현(朴鐵鉉) 서간(書簡)
1855년 최범진(崔範鎭) 서간(書簡)
1893년 서찬규(徐贊規) 향약조규(鄕約條規)
1871년 경상도 관찰사(慶尙道 觀察使) 순영감결등서(巡營甘結謄書)
1904년 경상북도관찰부(慶尙北道觀察府) 훈령(訓令)
1886년 경상도(慶尙道) 감영(監營) 순영관지(巡營關旨)
1917년 녹동재(鹿洞齋) 통문(通文)
1808년 경상도(慶尙道) 관찰사(觀察使) 완문(完文)
1847년 경상감영(慶尙監營) 완문(完文)
월사선생집(月沙先生集)
월사선생집(月沙先生集)
성옹선생유고(醒翁先生遺稿)
월사선생집(月沙先生集)
백사선생집(白沙先生集)
백사선생집(白沙先生集)
진암집(晉菴集)
북창고옥선생시집(北窓古玉先生詩集)
모하당문집(慕夏堂文集)
생육신선생집(生六臣先生集)
생육신선생집(生六臣先生集)
제영신편(濟嬰新編)
삼봉집(三峰集)
소성연방집(邵城聯芳集)
비와문집(卑窩文集)
수촌문집(水村文集)
퇴계선생매화시첩(退溪先生梅花詩帖)
수암선생문집(修巖先生文集)
구재선생문집(鳩齋先生文集)
삼운성휘(三韻聲彙)
삼운성휘(三韻聲彙)
숭정삼병오식년사마방목(崇禎三丙午式年司馬榜目)
추계가승(秋溪家乘)
추계가승(秋溪家乘)
밀성박씨세보(密城朴氏世譜)
천휘록(闡揮錄)
중용언해(中庸諺解)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
대학언해(大學諺解)
불설아미타경언해(佛說阿彌陀經諺解)
증수무원록대전(增修無寃錄大全)
대학언해(大學諺解)
주역언해(周易諺解)
찬도호주주례(纂圖互註周禮)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
한서(漢書)
십구사략언해(十九史略諺解)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少微家塾點校附音通鑑節要)
사보략(史補略)
동사척실(東史摭實)
경주읍지(慶州邑誌)
금오승람(金鰲勝覽)
교남지(嶠南誌)
동의보감(東醫寶鑑)
대구경자전안(大邱庚子田案)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왕랑반혼전(王郎返魂傳)
한수재선생연보(寒水齋先生年譜)
신편고금사문유취(新編古今事文類聚)
신편고금사문유취(新編古今事文類聚)
동의보감(東醫寶鑑)
규사(葵史)
명심보감(明心寶鑑)
동국풍아(東國風雅)
동현호록(東賢號錄)
갑봉연보(甲峯年譜)
금산선생실기(錦山先生實紀)
고산급문록(高山及門錄)
동유학안(東儒學案)
157대동(大洞)행정지명-방면전라도-함평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158대둔사(大芚寺)인문지명-문화전라도-해남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159대둔산(大芚山)인문지명-군사충청도-연산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160대룡산(大龍山)행정지명-방면경상도-순흥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