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3세기초 |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 금속활자(證道歌字/高麗 官鑄活字 Ⅰ) | 歐陽詢體를 자본으로 함. 1239년에 鑄字本 南明泉和尙頌證道歌 重彫 |
1234-1241, 갑오-신축 고려 고종 21-28년 | 상정예문(詳定禮文) | 금속활자(詳定禮文字/高麗 官鑄活字 Ⅱ) | 1234-41년 詳定禮文 28부 鑄字 印成 |
1377, 정사 고려 우왕 3년 |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 금속활자(興德寺字/高麗寺鑄活字) | 松雪體 |
1377, 정사 고려 우왕 3년 | 자비도량참법집해(慈悲道場懺法集解) | 금속활자(興德寺字/高麗寺鑄活字) | 飜刻本, 松雪體 |
1395, 을해 조선 조선 태조 4년 |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 목활자(書籍院字/徐贊字) | 大明律直解 100여부 인출 |
1395-1397, 을해-정축 조선 조선 태조 4-6년 | 이원길원종공신녹권(李原吉原從功臣錄券) | 목활자(錄券字) | |
1395-1397, 을해-정축 조선 조선 태조 4-6년 | 한노개원종공신녹권(韓奴介原從功臣錄券) | 목활자(錄券字) | |
1395-1397, 을해-정축 조선 조선 태조 4-6년 | 심지백원종공신녹권(沈之伯原從功臣錄券) | 목활자(錄券字) | |
15세기후반 | 벽암록(碧巖錄)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세기후반 | 전법정종기(傳法正宗記)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세기후반 | 석씨요람(釋氏要覽)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세기후반 | 원교육즉의(圓敎六卽儀)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세기후반 | 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蹟頌)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세기후반 | 관서분율종기의경초(關西分律宗記義鏡鈔)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세기후반 | 우선행도파사현정의(右旋行道破邪顯正義)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세기후반 | 보현행원품례참법보조의(普賢行願品禮懺法補助儀)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세기후반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목활자(乙酉字體木活字/乙酉字體寺刹字) | 乙酉字體를 자본으로 함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북사상절(北史詳節)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십칠사찬고금통요(十七史纂古今通要)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송조표전총류(宋朝表牋總類)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신간유편역거삼장문선대책(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對策)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도은선생시집(陶隱先生詩集)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찬도호주주례(纂圖互註周禮)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지리전서범씨동림조등(地理全書范氏洞林照謄)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 서문(少微家塾點校附音通鑑節要 序文)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통감속편 서문(通鑑續編 序文)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번각본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음주전문춘추괄례시말좌전구두직해(音註全文春秋括例始末左傳句讀直解)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번각본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십일가주손자(十一家註孫子)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번각본 |
1403, 계미 조선 태종 3년 | 대학연의(大學衍義) | 동활자(癸未字) | 南宋蜀板 古註本 詩∙ 書∙ 左氏傳을 字本으로 함. 10여만자 주조. 번각본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문선(文選)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진서산독서기대학연의(眞西山讀書記大學衍義)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장자권재구의(莊子虞齊口義)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사기(史記)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서산선생진문충공문장정종(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전국책(戰國策)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유설경학대장(類說經學隊仗)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신간역거삼장문선고부(新刊歷擧三場文選古賦)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少微家塾點校附音通鑑節要)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통감속편(通鑑續編)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한서(漢書)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초사후어(楚辭後語)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20, 경자 조선 세종 2년 | 선시연의(選詩演義) | 동활자(庚子字) | 元板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대학연의(大學衍義)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분류보주이태백시(分類補註李太白詩)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근사록(近思錄)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신편음점성리군서구해전후집(新編音點性理群書句解前後集)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춘추경전집해(春秋經傳集解)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교식통궤(交食通軌)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대통력일통궤(大統曆日通軌)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사여전도통궤(四餘纏度通軌)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수시력입성(授時曆立成)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선덕십년월오성능범(宣德十年月五星凌犯)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34, 갑인 조선 세종 16년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衛夫人字) | 明板 孝順事實∙ 爲善陰騭∙ 論語를 자본으로 함. 20여 만자 주조 |
1447, 정묘 조선 세종 29년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月印釋譜 한글字) | 고딕 印書體 |
1447, 정묘 조선 세종 29년 | 석보상절(釋譜詳節) | 동활자(初鑄 甲寅字 並用 한글字/月印釋譜 한글字) | 고딕 印書體 |
1436, 병진 조선 세종 18년 | 자치통감강목훈의(資治通鑑綱目訓義) | 연활자(丙辰字/晋陽字) | 晋陽大君瑈의 글자를 자본으로 함. 인출은 1438(무오년)년에 이루어짐 |
1447, 정묘 조선 세종 29년 | 동국정운(東國正韻) | 목활자(漢字大字)? 목활자(한글字)? 동활자(甲寅小字)(東國正韻字 並用 한글字/東國正韻한글字) | 晋陽大君瑈의 글자를 자본(漢字大字) |
1450, 경오 조선 문종 1년 | 역대십팔사략(歷代十八史略) | 동활자(庚午字/安平字) | 安平大君瑢의 글자본 |
1450, 경오 조선 문종 1년 |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 | 동활자(庚午字/安平字) | 安平大君瑢의 글자본 |
1450, 경오 조선 문종 1년 | 역대병요(歷代兵要) | 동활자(庚午字/安平字) | 安平大君瑢의 글자본 |
1450, 경오 조선 문종 1년 | 신편산학계몽(新編算學啓蒙) | 동활자(庚午字/安平字) | 安平大君瑢의 글자본 |
1455, 을해 조선 단종 3년 |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 목활자(漢字大字)? 목활자(한글字)? 동활자(甲寅小字)(洪武正韻字 並用 한글字/洪武正韻 한글字) | 晋陽大君瑈의 글자를 자본(漢字大字)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천태사교의집해(天台四敎儀集解)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훈사(訓辭)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어제장병설(御製將兵說)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주역전의강녕전구결(周易傳義康寧殿口訣)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동문선(東文選)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속동문선(續東文選)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송사(宋史)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진서(晉書)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설문청공독서록(薛文淸公讀書錄)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표제구해공자가어(標題句解孔子家語)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내훈(內訓)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국조유선록(國朝儒先錄)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동국장원책(東國壯元策)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55, 을해 조선 세조 1년 | 사마법집해(司馬法集解)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姜希顔字(漢字字)) | 漢字字는 姜希顔의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461, 신사 조선 세조 7년 |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楞嚴한글字) | 楞嚴한글字는 1461(신사)년에 만들어짐 |
1461, 신사 조선 세조 7년 | 아미타경언해(阿彌陀經諺解) | 동활자(乙亥字 並用 한글字/楞嚴한글字) | 楞嚴한글字는 1461(신사)년에 만들어짐 |
1457, 정축 조선 세조 3년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 동활자(丁丑字/金剛經大字) | 世祖親寫 金剛經 大字를 자본으로 함 |
1457, 정축 조선 세조 3년 |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 | 동활자(丁丑字/金剛經大字) | 世祖親寫 金剛經 大字를 자본으로 함 |
1458, 무인 조선 세조 4년 | 교식추보법가령(交食推步法假令) | 동활자(戊寅字/交食字) | 世祖親筆을 자본으로 한것으로 추정 |
1458, 무인 조선 세조 4년 |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 | 동활자(戊寅字/交食字) | 世祖親筆을 자본으로 한것으로 추정. |
1465, 을유 조선 세조 11년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동활자(乙酉字 並用 한글字/鄭蘭宗字(漢字字)∙ 乙酉한글字) | 鄭蘭宗書를 자본으로 함 |
1465, 을유 조선 세조 11년 | 불과환오선사벽암록(佛果圜梧禪師碧巖錄) | 동활자(乙酉字 並用 한글字/鄭蘭宗字(漢字字)∙ 乙酉한글字) | 鄭蘭宗書를 자본으로 함 |
1465, 을유 조선 세조 11년 | 금강반야바라밀경(육경합부)(金剛般若波羅蜜經(六經合部)) | 동활자(乙酉字 並用 한글字/鄭蘭宗字(漢字字)∙ 乙酉한글字) | 鄭蘭宗書를 자본으로 함 |
1465, 을유 조선 세조 11년 | 보현행원품(육경합부)(普賢行願品(六經合部)) | 동활자(乙酉字 並用 한글字/鄭蘭宗字(漢字字)∙ 乙酉한글字) | 鄭蘭宗書를 자본으로 함 |
1465, 을유 조선 세조 11년 | 관세음보살예문(육경합부)(觀世音菩薩禮文(六經合部)) | 동활자(乙酉字 並用 한글字/鄭蘭宗字(漢字字)∙ 乙酉한글字) | 鄭蘭宗書를 자본으로 함 |
1465, 을유 조선 세조 11년 | 병장설(兵將說) | 동활자(乙酉字 並用 한글字/鄭蘭宗字(漢字字)∙ 乙酉한글字) | 鄭蘭宗書를 자본으로 함 |
1465, 을유 조선 세조 11년 | 당서(唐書) | 동활자(乙酉字 並用 한글字/鄭蘭宗字(漢字字)∙ 乙酉한글字) | 鄭蘭宗書를 자본으로 함 |
1465, 을유 조선 세조 11년 | 문한유선(文翰類選) | 동활자(乙酉字 並用 한글字/鄭蘭宗字(漢字字)∙ 乙酉한글字) | 鄭蘭宗書를 자본으로 함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왕형문공시(王荊文公詩)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사숙재집(私淑齋集)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동국통감(東國通鑑)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백씨문집(白氏文集)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신편고금사문유취(新編古今事文類聚)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치평요람(治平要覽)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동래선생십칠사상절(東萊先生十七史詳節)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계주주의(桂洲奏議)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문장변체(文章辨体)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서산선생진문충공문장정종(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성훈연(聖訓演)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사서집석장도통의대성(書輯釋章圖通義大成)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신편의학정전(新編醫學正傳)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신편부인대전양방(新編婦人大全良方)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의림류증집요(醫林類證集要)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증급유방(拯急遺方)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84, 갑진 조선 성종 15년 |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脉訣集成) | 동활자(甲辰字) | 歐陽文忠公集∙烈女傳∙朴耕補書를 자본으로 함. 30여만자 주조 |
1493, 계축 조선 성종 24년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동활자(癸丑字) | 明板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함 |
1493, 계축 조선 성종 24년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동활자(癸丑字) | 明板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함 |
1493, 계축 조선 성종 24년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 동활자(癸丑字) | 明板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함 |
1493, 계축 조선 성종 24년 | 송조주의(宋朝奏議) | 동활자(癸丑字) | 明板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함 |
1493, 계축 조선 성종 24년 | 조선부(朝鮮賦) | 동활자(癸丑字) | 明板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함. 번각본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묘법연화경학조인경발문(妙法蓮華經學祖印經跋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대불정수릉엄경학조인경발문(大佛頂首楞嚴經學祖印經跋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금강반야바라밀경육조해학조인경발문(金剛般若波羅蜜經六祖解學祖印經跋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반야바라밀다심경학조인경발문(般若波羅蜜多心經學祖印經跋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선종영가집학조인경발문(禪宗永嘉集學祖印經跋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석보상절학조인경발문(釋譜詳節學祖印經跋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금강반야바라밀경학조인경발문(金剛般若波羅蜜經學祖印經跋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육경합부학조인경발문(六經合部學祖印經跋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천지명양수륙잡문(天地冥陽水陸雜文)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국역본 |
1495-1496, 을묘-병진 조선 연산군 1년-연산군 2년 | 진언권공(眞言勸供) | 목활자(印經字 印經한글字) | 국역본 |
16세기 | 역서(曆書) | 철활자(印曆字/觀象監鐵活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단종2년갑술(1454)-중종32년정유(1537) |
16세기 | 대통력(大統曆) | 철활자(印曆字/觀象監鐵活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선조27년갑오(1594)-선조31년무술(1598) 5책, 선조37년갑진(1604)-선조40년정미(1607) 4책 |
16세기 | 백중력(百中曆) | 철활자(印曆字/觀象監鐵活字) | 목활자와 혼용.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세기 | 시헌력(時憲曆) | 철활자(印曆字/觀象監鐵活字) | 목활자와 혼용.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孝宗5年甲午(1654) |
16세기전반 조선 중종연간 | 성리대전서절요(性理大全書節要) | 목활자(錦城字/羅州字(1)) |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6세기전반 조선 중종연간 | 속몽구분주(續蒙求分註) | 목활자(錦城字/羅州字(1)) |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대종미산소씨가전문집대전(大宗眉山蘇氏家傳文集大全)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당류선생문집(唐柳先生文集)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영규율수(瀛奎律髓)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우재선생표주숭고문결(迂齋先生標註崇古文訣)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문원영화(文苑英華)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대명회전(大明會典)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십일가주손자(十一家註孫子)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역대병요(歷代兵要)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16-1519, 병자-기묘 조선 중종 11년-중종 14년 | 주자어류(朱子語類) | 동활자(丙子字/己卯字) | 明板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함 |
1580 | 매월당집(梅月堂集) | 동활자(庚辰字/再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580 | 전주정절선생집(箋註靖節先生集) | 동활자(庚辰字/再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580 | 시전(詩傳) | 동활자(庚辰字/再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580 | 시서(詩書) | 동활자(庚辰字/再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580 | 회찬송악악무목왕정충록(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 | 동활자(庚辰字/再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580 | 소미통감집석(少微通鑑輯釋) | 동활자(庚辰字/再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580 | 한문비지(韓文碑誌) | 동활자(庚辰字/再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580 | 허난설헌집(許蘭雪軒集) | 동활자(庚辰字/再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588, 무자 조선 선조 21년 | 소학언해(小學諺解) | 동활자(經書字 並用 한글字/倣乙亥字∙ 經書한글字) |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88, 무자 조선 선조 21년 | 대학언해(大學諺解) | 동활자(經書字 並用 한글字/倣乙亥字∙ 經書한글字) |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88, 무자 조선 선조 21년 | 중용언해(中庸諺解) | 동활자(經書字 並用 한글字/倣乙亥字∙ 經書한글字) |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88, 무자 조선 선조 21년 | 논어언해(論語諺解) | 동활자(經書字 並用 한글字/倣乙亥字∙ 經書한글字) |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88, 무자 조선 선조 21년 | 맹자언해(孟子諺解) | 동활자(經書字 並用 한글字/倣乙亥字∙ 經書한글字) |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88, 무자 조선 선조 21년 | 효경언해(孝經諺解) | 동활자(經書字 並用 한글字/倣乙亥字∙ 經書한글字) |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590, 경인 조선 선조 23년 | 효경대의(孝經大義) | 목활자(孝經大字) | 松雪體系 |
16세기후반 | 호음잡고(湖陰雜藁) | 목활자(湖陰字/鄭士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세기후반 | 선문촬영(選文撮英) | 목활자(湖陰字/鄭士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세기후반 | 자경편(自警篇) | 목활자(秋香堂字) | 甲辰字體系 |
16세기후반 | 여어편류(儷語編類) | 목활자(秋香堂字) | 甲辰字體系 |
16세기후반 | 송조명신언행록(宋朝名臣言行錄) | 목활자(秋香堂字) | 甲辰字體系 |
17세기전반 | 신기비결(神器秘訣)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진설(陣說)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무경총요행군수지(武經總要行軍須知)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황화집(皇華集)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동국병감(東國兵鑑)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경국대전(經國大典)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대전속록(大典續錄)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한사열전초(漢史列傳抄) | 목활자(訓鍊都監字(甲寅字體)) | 甲寅字體系 |
17세기전반 | 주문공교창려선생집(朱文公校昌黎先生集) | 목활자(訓鍊都監字(庚午字體)) | 庚午字體系 |
17세기전반 | 대학언해(大學諺解) | 목활자(訓鍊都監字(庚午字體)) | 庚午字體系 |
17세기전반 | 소학제가집주(小學諸家集註) | 목활자(訓鍊都監字(庚午字體)) | 庚午字體系 |
17세기전반 | 사찬(史纂) | 목활자(訓鍊都監字(庚午字體)) | 庚午字體系 |
17세기전반 | 시경언해(詩經諺解) | 목활자(訓鍊都監字(庚午字體)) | 庚午字體系 |
17세기전반 | 고사촬요(攷事撮要) | 목활자(訓鍊都監字(庚午字體)) | 庚午字體系 |
17세기전반 | 내훈(內訓) | 목활자(訓鍊都監字(乙亥字體)) | 乙亥字體系 |
17세기전반 | 대학언해(大學諺解) | 목활자(訓鍊都監字(乙亥字體)) | 乙亥字體系 |
17세기전반 | 사성통해(四聲通解) | 목활자(訓鍊都監字(乙亥字體)) | 乙亥字體系 |
17세기전반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목활자(訓鍊都監字(乙亥字體)) | 乙亥字體系 |
17세기전반 | 노자집해(老子集解) | 목활자(訓鍊都監字(乙亥字體)) | 乙亥字體系 |
17세기전반 | 주자경연강의(朱子經筵講義) | 목활자(訓鍊都監字(乙亥字體)) | 乙亥字體系 |
17세기전반 | 육도직해(六韜直解) | 목활자(訓鍊都監字(乙亥字體)) | 乙亥字體系 |
17세기전반 | 소재선생문집(穌齋先生文集) | 목활자(訓鍊都監字(甲辰字體)) | 甲辰字體系 |
17세기전반 | 상촌고(象村稿) | 목활자(訓鍊都監字(甲辰字體)) | 甲辰字體系 |
17세기전반 | 오봉선생집(五峯先生集) | 목활자(訓鍊都監字(甲辰字體)) | 甲辰字體系 |
17세기전반 | 좌전류초(左傳類抄) | 목활자(訓鍊都監字(甲辰字體)) | 甲辰字體系 |
17세기전반 | 식물본초(食物本草) | 목활자(訓鍊都監字(甲辰字體)) | 甲辰字體系 |
17세기전반 | 황화집(皇華集) | 목활자(訓鍊都監字(丙子字體)) | 丙子字體系 |
17세기전반 | 경리어사양선생송시고(經理御史楊先生訟詩稿) | 목활자(訓鍊都監字(丙子字體)) | 丙子字體系 |
17세기전반 | 당율광선(唐律廣選) | 목활자(訓鍊都監字(丙子字體)) | 丙子字體系 |
17세기전반 | 여문선정(儷文選程) | 목활자(訓鍊都監字(丙子字體)) | 丙子字體系 |
17세기전반 | 서전언해(書傳諺解) | 목활자(訓鍊都監字(한글字)) | |
17세기전반 | 대학언해(大學諺解) | 목활자(訓鍊都監字(한글字)) | |
17세기전반 | 내훈(內訓) | 목활자(訓鍊都監字(한글字)) | |
17세기전반 | 십오공신회맹문(十五功臣會盟文)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호성원종공신녹권(扈聖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정난원종공신녹권(靖難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정운원종공신녹권(定運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형난원종공신녹권(亨難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정사원종공신녹권(靖社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진무원종공신녹권(振武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십칠공신회맹록(十七功臣會盟錄)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영사원종공신녹권(寧社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십구공신회맹록(十九功臣會盟錄)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영국원종공신녹권(寧國原從功臣錄券)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세기전반 | 이십공신회맹문(二十功臣會盟文) | 목활자(功臣都監字/亂後 功臣都監字) | 甲寅∙ 乙亥字體를 자본으로 함 |
1603, 계묘 조선 선조 36년 | 태조실록-태종실록(太祖實錄-太宗實錄) | 목활자(實錄字) | 甲寅字(동활자), 木活字(甲寅字體系)混入印出 |
1603, 계묘 조선 선조 36년 | 문종실록-성종실록(文宗實錄-成宗實錄) | 목활자(實錄字) | 甲寅字(동활자), 木活字(甲寅字體系)混入印出 |
1603, 계묘 조선 선조 36년 | 중종실록(중종32년5월-39년12월)-인종실록(中宗實錄-仁宗實錄) | 목활자(實錄字) | 甲寅字(동활자), 木活字(甲寅字體系)混入印出 |
1603, 계묘 조선 선조 36년 | 명종실록(明宗實錄) | 목활자(實錄字) | 甲寅字(동활자), 木活字(甲寅字體系)混入印出 |
1603, 계묘 조선 선조 36년 | 세종실록(世宗實錄) | 목활자(實錄字) | 乙亥字(동활자), 木活字(乙亥字體系)混入印出 |
1603, 계묘 조선 선조 36년 | 연산군일기-중종실록(중종즉위년-32년4월)(燕山君日記-中宗實錄) | 목활자(實錄字) | 乙亥字(동활자), 木活字(乙亥字體系)混入印出 |
1608-1615 조선 선조41-광해군7 | 동의보감(東醫寶鑑) | 목활자(內醫院字) | 乙亥字體系 |
1608-1615 조선 선조41-광해군7 |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脉訣集成) | 목활자(內醫院字) | 乙亥字體系 |
1608-1615 조선 선조41-광해군7 | 신찬벽온방(新纂辟瘟方) | 목활자(內醫院字) | 乙亥字體系 |
1608-1615 조선 선조41-광해군7 | 벽역신방(辟疫神方) | 목활자(內醫院字) | 乙亥字體系 |
1608-1615 조선 선조41-광해군7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목활자(內醫院字) | 乙亥字體系 |
1608-1615 조선 선조41-광해군7 | 신간보주석문황제내경소문(新刊補註釋文黃帝內經素問) | 목활자(內醫院字) | 乙亥字體系 |
1608-1615 조선 선조41-광해군7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목활자(內醫院字(한글字)) | |
1608-1615 조선 선조41-광해군7 |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 목활자(內醫院字(한글字)) | |
1617, 정사 조선 광해군 9년 | 선조실록(宣祖實錄221券) | 목활자(宣祖實錄字) | 甲寅字體系 |
1618, 무오 조선 광해군 10년 | 서전대전(書傳大全) | 동활자(戊午字/三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618, 무오 조선 광해군 10년 | 시전대전(詩傳大全) | 동활자(戊午字/三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618, 무오 조선 광해군 10년 | 황화집(皇華集) | 동활자(戊午字/三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618, 무오 조선 광해군 10년 | 노주연송덕회편(勞酒宴頌德會編) | 동활자(戊午字/三鑄甲寅字) |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621, 신유 조선 광해군 13년 | 수양세고(首陽世稿) | 목활자(文繼朴字) | 筆書體 |
1621, 신유 조선 광해군 13년 | 허암유고(虛庵遺稿) | 목활자(文繼朴字) | 筆書體 |
1626, 정묘 조선 인조 4년 | 설문청공독록(薛文淸公讀錄) | 목활자(羅州字/羅州字(2)) | 甲寅字體系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찬도호주주례(纂圖互註周禮)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주역참동계해(周易參同契解)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이정전서(二程全書)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당태종제범(唐太宗帝範)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영규율수(瀛奎律髓)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국조보감(國朝寶鑑)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신응경(神應經)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신간인재직지방론의맥진경(新刊仁齋直指方論醫脈眞經)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증보만병회춘(增補萬病回春)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정유식년사마방목(丁酉式年司馬榜目)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48년경 조선 인조26년경 | 삼대가시전집(三大家詩全集) | 목활자(前期 校書館 筆書體字/亂後 校書館字) | 甲寅∙ 乙亥字體系 筆書體 |
1652, 임진 조선 효종 3년 | 인조실록(仁祖實錄50券) | 목활자(仁祖實錄字) | 庚午字體를 자본으로 함 |
1652, 임진 조선 효종 3년 | 인조실록청제명기(仁祖實錄廳題名記) | 목활자(仁祖實錄字) | 庚午字體를 자본으로 함 |
1652, 임진 조선 효종 3년 | 인조대왕행장(仁祖大王行狀) | 목활자(仁祖實錄字) | 庚午字體를 자본으로 함 |
1652, 임진 조선 효종 3년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목활자(仁祖實錄字) | 庚午字體를 자본으로 함 |
1660, 경자 조선 현종 1년 | 효종실록21권(孝宗實錄21券) | 목활자(孝宗實錄字) |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잠곡선생유고(潛谷先生遺稿)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잠곡선생연보(潛谷先生年譜)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심경부주(心經附註)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고사촬요(攷事撮要)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정관정요(貞觀政要)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성학집요(聖學輯要)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황명통기(皇明通記)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예기유편(禮記類編)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동국통감(東國通鑑)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숙묘보감(肅廟寶鑑)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천의소감(闡義昭鑑)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문장정종(文章正宗) | 동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四鑄 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대학언해(大學諺解) | 목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맹자언해(孟子諺解) | 목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시경언해(詩經諺解) | 목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사서율곡선생언해(四書栗谷先生諺解) | 목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68, 무신 조선 현종 9년 | 소학언해(小學諺解) | 목활자(戊申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甲寅字體를 자본을 함 |
1673년경, 계축 조선 현종 14년경 | 경자증광사마방목(庚子增廣司馬榜目) | 동활자(洛東癸字) | |
1673년경, 계축 조선 현종 14년경 | 임자식년사마방목(壬子式年司馬榜目) | 동활자(洛東癸字) | |
1673년경, 계축 조선 현종 14년경 |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 동활자(洛東癸字) | |
1676, 병진 조선 숙종 2년 | 첩해신어(捷解新語) | 동활자(丙辰倭諺字/校書館倭諺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현종대왕실록(顯宗大王實錄)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숙종대왕실록(肅宗大王實錄)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영조대왕실록(英祖大王實錄)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정조대왕실록(正祖大王實錄)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열성어제(列聖御製)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각종지장(各種誌狀)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동국역대총목(東國歷代總目)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증보역대총목(增補歷代總目)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동문선(東文選)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감난록(勘亂錄)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 정사 조선 숙종 3년 | 삼국사기(三國史記) | 동활자(顯宗實錄字) |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행군수지(行軍須知)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잠곡집(潛谷集)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낙전당집(樂全堂集)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황명대가문초(皇明大家文抄)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여문초(儷文抄)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유유주문초(柳柳州文抄)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삼대가시집(三大家詩集)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동강유집(東江遺集)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77년경 조선 숙종 초기 | 춘소자집(春沼子集) | 동활자(初鑄韓構字) | 韓構書를 자본으로 함 |
1684년 이전 조선 숙종 초기 | 낙전선생귀전록(樂田先生歸田錄) | 철활자(前期 校書館 印書體字/唐字, 文集字, 芸閣鐵活字(Ⅰ)) |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4년 이전 조선 숙종 초기 | 식암선생유고(息庵先生遺稿) | 철활자(前期 校書館 印書體字/唐字, 文集字, 芸閣鐵活字(Ⅰ)) |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4년 이전 조선 숙종 초기 | 문곡집(文谷集) | 철활자(前期 校書館 印書體字/唐字, 文集字, 芸閣鐵活字(Ⅰ)) |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4년 이전 조선 숙종 초기 | 남악집(南岳集) | 철활자(前期 校書館 印書體字/唐字, 文集字, 芸閣鐵活字(Ⅰ)) |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4년 이전 조선 숙종 초기 | 퇴우당집(退憂堂集) | 철활자(前期 校書館 印書體字/唐字, 文集字, 芸閣鐵活字(Ⅰ)) |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기아(箕雅)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시선(詩選)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위소주집(韋蘇州集)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유유주시집(柳柳州詩集)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도정절집(陶靖節集)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구문초(歐文抄)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유문초(柳文抄)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소문초(蘇文抄)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한문초(韓文抄)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율곡선생문집(栗谷先生文集)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조선 숙종 14년경 | 공성가어(孔聖家語) | 목활자(後期 校書館 筆書體字/芸閣筆書體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계유 조선 숙종 19년 | 어필맹자언해(御筆孟子諺解) | 동활자(元宗字) | 원종글씨를 자본으로 함 |
1688년경, 갑술 조선 숙종 19년 | 맹자대문(孟子大文) | 동활자(元宗字) | 원종글씨를 자본으로 함 |
1693, 을해 조선 숙종 19년 | 어필맹자언해서문(御筆孟子諺解序文) | 동활자("肅宗字
") | 숙종어필을 자본으로 함 |
18세기 | 경사집설(經史集說) | 포활자(바가지활자)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세기 | 논어집주대전(論語集註大全) | 포활자(바가지활자)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2, 임인 조선 경종 2년 | 삼략직해(三略直解) | 도활자(오지활자)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2, 임인 조선 경종 2년 | 경사집설(經史集說) | 도활자(오지활자)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2, 임인 조선 경종 2년 | 옥찬(玉纂) | 도활자(오지활자)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약천집(藥泉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곤륜집(昆崙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삼연집(三淵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서파집(西坡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동토선생문집(童土先生文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죽헌집(竹軒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북헌거사집(北軒居士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진암집(晋庵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목곡집(牧谷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일암집(一菴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상곡집(商谷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운와집(芸窩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만주유집(晩洲遺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검암산인시집(儉巖山人詩集)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소대풍요(昭代風謠)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풍요속선(風謠續選)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풍요삼선(風謠三選) | 철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漢字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23년이전 조선 경종 초기 | 증수무원록언해(增修無寃錄諺解) | 목활자(後期校書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唐字, 文集字 芸閣 鐵活字(Ⅱ)) | 한글字, 明朝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34, 갑인 조선 영조 10년 | 논어정음(論語正音) | 목활자(經書正音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系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34, 갑인 조선 영조 10년 | 맹자정음(孟子正音) | 목활자(經書正音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系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34, 갑인 조선 영조 10년 | 대학정음(大學正音) | 목활자(經書正音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系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34, 갑인 조선 영조 10년 | 중용정음(中庸正音) | 목활자(經書正音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系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34, 갑인 조선 영조 10년 | 서전정음(書傳正音) | 목활자(經書正音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系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34, 갑인 조선 영조 10년 | 시전정음(詩傳正音) | 목활자(經書正音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系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34, 갑인 조선 영조 10년 | 춘추정음(春秋正音) | 목활자(經書正音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系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37, 정사 조선 영조 13년 | 동명선생집(東溟先生集) | 도활자(오지활자) | 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749, 기사 조선 영조 25년 | 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철활자(栗谷全書字/栗谷字) | 서고전서취진판 강희자전체 |
1749, 기사 조선 영조 25년 | 순언(醇言) | 철활자(栗谷全書字/栗谷字) | 서고전서취진판 강희자전체 |
1749, 기사 조선 영조 25년 | 서사윤송(書社輪誦) | 철활자(栗谷全書字/栗谷字) | 서고전서취진판 강희자전체 |
1749, 기사 조선 영조 25년 | 소학(小學) | 철활자(栗谷全書字/栗谷字) | 서고전서취진판 강희자전체 |
1749, 기사 조선 영조 25년 | 고청선생유고(孤靑先生遺稿) | 철활자(栗谷全書字/栗谷字) | 서고전서취진판 강희자전체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 | 동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五鑄甲寅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漢字字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신증자치통감강목속편(新訂資治通鑑綱目續編) | 동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五鑄甲寅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漢字字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경서정문(經書正文) | 동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五鑄甲寅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漢字字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아송(雅誦) | 동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五鑄甲寅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漢字字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명의록(明義錄) | 동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五鑄甲寅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漢字字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속명의록(續明義錄) | 동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五鑄甲寅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漢字字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국조보감(國朝寶鑑) | 동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五鑄甲寅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漢字字. 건륭3년 보인본.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청구시초(靑丘詩鈔) | 동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五鑄甲寅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漢字字. 1915년 인본.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명의록언해(明義錄諺解) | 목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한글字 |
1772, 임진 조선 영조 48년 | 속명의록언해(續明義錄諺解) | 목활자(壬辰字 並用 한글字/五倫行實한글字) | 甲寅字本心經, 萬病回春을 자본으로 동활자 15만자 주조, 한글字 |
1772-1773 조선 영조 48년, 영조 49년 | 자치통감강목속편(資治通鑑綱目續編) | 목활자(倣洪武正韻大字/通鑑續編大字) | 洪武正韻大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72-1773 조선 영조 48년, 영조 49년 |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 | 목활자(倣洪武正韻大字/通鑑續編大字) | 洪武正韻大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72-1773 조선 영조 48년, 영조 49년 | 아송서문(雅頌序文) | 목활자(倣洪武正韻大字/通鑑續編大字) | 洪武正韻大字體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당송팔자백선(唐宋八子百選)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홍문관지(弘文館志)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규장각지(奎章閣志)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자휼전칙(字恤典則)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주서백선(朱書百選)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사기영선(史記英選)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육주약선(陸奏約選)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두육천선(杜陸千選)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열조갱장록(列朝羹墻錄)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신법누주통의(新法漏籌通義)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눌재집(訥齋集)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임충민실기(林忠愍實紀)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이충무전서(李忠武全書)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향례합편(鄕禮合編)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순암집(醇庵集)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서운관지(書雲觀志)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척사윤음(斥邪綸音)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국조보감(國朝寶鑑) | 동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漢字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정조6년 편인본. |
1777, 정유 조선 정조 1년 | 유중외대소신서윤음언문(諭中外大小臣庶綸音諺文) | 목활자(丁酉字 並用 한글字/六鑄甲寅字) | 한글字, 甲寅字를 자본으로 함 |
1782, 임인 조선 정조 6년 | 뇌연집(雷淵集) | 동활자(壬寅字/再鑄韓構字) | 86,085자를 주조 |
1782, 임인 조선 정조 6년 | 문원보불(文苑黼黻) | 동활자(壬寅字/再鑄韓構字) | 86,085자를 주조 |
1782, 임인 조선 정조 6년 | 경림문희록(瓊林聞喜錄) | 동활자(壬寅字/再鑄韓構字) | 86,085자를 주조 |
1782, 임인 조선 정조 6년 | 규화명선(奎華名選) | 동활자(壬寅字/再鑄韓構字) | 86,085자를 주조 |
1782, 임인 조선 정조 6년 | 정시문정(正始文程) | 동활자(壬寅字/再鑄韓構字) | 86,085자를 주조 |
1782, 임인 조선 정조 6년 | 풍패빈흥록(豊沛賓興錄) | 동활자(壬寅字/再鑄韓構字) | 86,085자를 주조 |
1782, 임인 조선 정조 6년 | 탐라빈흥록(耽羅賓興錄) | 동활자(壬寅字/再鑄韓構字) | 86,085자를 주조 |
1791, 신해 조선 정조 15년 | 오산집(五山集) | 목활자(箕營筆書體字/倣聚珍堂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16만자 주조 |
1791, 신해 조선 정조 15년 | 목민대방(牧民大方) | 목활자(箕營筆書體字/倣聚珍堂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16만자 주조 |
1792, 임자 조선 정조 16년 | 생생자보(生生字譜) | 목활자(生生字) | 四庫全書聚珍版 康熙字典字體를 자본으로 32여만자를 주조 |
1792, 임자 조선 정조 16년 | 어정인서록(御定人瑞錄) | 목활자(生生字) | 四庫全書聚珍版 康熙字典字體를 자본으로 32여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정리의궤통편(整理儀軌通編)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화성의궤(華城儀軌)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갱재축합집(賡載軸合集)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두율분운(杜律分韻)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육률분운(陸律分韻)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태학은배시집(太學恩杯詩集)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어정대학유의(御定大學類義)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홍재전서(弘齋全書)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능허관만고(淩虛關漫稿)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문사저영(文史咀英)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전운옥편(全韻玉篇)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홍익정공주의(洪翼靖公奏議)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5, 을묘 조선 정조 19년 | 풍고집(楓皐集) | 동활자(初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乙卯字) | 漢字字, 生生字體를 자본으로 30여 만자를 주조 |
1797, 정사 조선 정조 21년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 목활자(春秋鋼字) | 曺允亨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797, 정사 조선 정조 21년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 목활자(春秋鋼字) | 黃運祚 글씨를 자본으로 함 |
1798년경, 무오 조선 정조 22년경 | 문소세고(聞韶世稿) | 목활자(成川字) | 筆書體 |
1798년경, 무오 조선 정조 22년경 | 칠봉선생일집(七峯先生逸集) | 목활자(成川字) | 筆書體 |
1798년경, 무오 조선 정조 22년경 | 두암선생문집(斗庵先生文集) | 목활자(成川字) | 筆書體 |
1798년경, 무오 조선 정조 22년경 | 노봉선생문집(蘆峯先生文集) | 목활자(成川字) | 筆書體 |
1798년경, 무오 조선 정조 22년경 | 팔오헌선생문집(八吾軒先生文集) | 목활자(成川字) | 筆書體 |
1798년경, 무오 조선 정조 22년경 | 문천집(文泉集) | 목활자(成川字) | 筆書體 |
1798년경, 무오 조선 정조 22년경 | 아산선생문집(芽山先生文集) | 목활자(成川字) | 筆書體 |
1800년이전 | 정묘거의록(丁卯擧義錄)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양호거의록(兩湖擧義錄)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가례집고(家禮集考)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문곡연보(文谷年譜)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아희원람(兒戱原覽)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한훤차록(寒喧箚錄)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탁계집(濯溪集)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도암선생집(陶菴先生集)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시헌기요(時憲紀要)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남산집(南山集)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동계연보(桐溪年譜)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태학갱재축(太學賡載軸)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800년이전 | 난곡선생연보(蘭谷先生年譜) | 철활자(整理字體 鐵活字/民間 整理字體 鐵活字) | 整理字體를 자본으로 주조 |
19세기전반 | 전주권씨족보(全州權氏族譜)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덕촌선생집(德村先生集)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표옹선생유고(瓢翁先生遺稿)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간곡유고(艮谷遺稿)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장호봉사(長湖封事)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덕포선생유고(德浦先生遺稿)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종제보(種藷譜)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담양국씨세보(潭陽菊氏世譜)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우주황씨족보(紆州黃氏族譜)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일재선생속집(一齋先生續集)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광산김씨족보(光山金氏族譜)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보성선씨족보(寶城宣氏族譜)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화곡유고(華谷遺稿)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오산세고(烏山世稿)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용성향안(龍城鄕案) | 목활자(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印書體(지겟다리획) |
19세기전반 | 양주조씨족보(楊州趙氏族譜) | 철활자(筆書體 鐵活字/民間 筆書體 鐵活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9세기전반 | 동국궐리지(東國闕里誌) | 철활자(筆書體 鐵活字/民間 筆書體 鐵活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9세기전반 | 의회당충의록(義會堂忠義錄) | 철활자(筆書體 鐵活字/民間 筆書體 鐵活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9세기전반 | 동래정씨파보(東萊鄭氏波譜) | 철활자(筆書體 鐵活字/民間 筆書體 鐵活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9세기전반 | 함종어씨세보(咸從魚氏世譜) | 철활자(筆書體 鐵活字/民間 筆書體 鐵活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9세기전반 | 선원속보(월산대군파, 밀성군파)(璿源續譜) | 철활자(筆書體 鐵活字/民間 筆書體 鐵活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몽유편(蒙喩篇)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근취편(近取篇)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당율집영(唐律集英)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시종(詩宗)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창암집(蒼巖集)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약오수연첩(藥塢晬讌帖)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금금기실시(錦衾記實詩)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금서사갑을선(錦西社甲乙選)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수여당소집(睡餘堂小集)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비연상초(斐然箱抄)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성령집(性靈集)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몽관시고(夢觀詩稿)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반포유고(伴圃遺稿)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연경편(演經篇)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관제보훈(關帝寶訓)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현화보란(玄化寶鸞)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0년경 조선 순조 10년 경 | 맥경(脈經) | 목활자(張混字 張混한글字/而已厂字) | 筆書體 |
1815, 을해 조선 순조 15년 | 금릉거사문집(金陵居士文集) | 목활자(金陵聚珍字/聚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15, 을해 조선 순조 15년 | 귀은당집(歸恩堂集) | 목활자(金陵聚珍字/聚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15, 을해 조선 순조 15년 | 보만재집(保晩齋集) | 목활자(金陵聚珍字/聚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15, 을해 조선 순조 15년 |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 | 목활자(金陵聚珍字/聚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15, 을해 조선 순조 15년 | 우념재시초(雨念齋詩抄) | 목활자(金陵聚珍字/聚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15, 을해 조선 순조 15년 | 해거재시초(海居齋詩鈔) | 목활자(金陵聚珍字/聚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15, 을해 조선 순조 15년 | 삼산재집(三山齋集) | 목활자(金陵聚珍字/聚珍字) | 筆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금석집(錦石集)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반남박씨오세유고(潘南朴氏五世遺稿)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근재집(近齋集)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영옹속고(頴翁續藁)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고려명신전(高麗名臣傳)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한글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태호집(太湖集)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산술관견(算術管見)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완산지장(完山誌狀)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육전조례(六典條例)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사례찬설(四禮纂說)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한글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위암선생시록(韋庵先生詩錄)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약장합편(約章合編)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漢字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16, 병자 조선 순조 16년 | 동랑집(冬郞集) | 동활자(全史字 並用 한글字/敦巖印書體字) | 한글字, 淸聚珍板 全史字體를 자본으로 함 |
1825, 을유 조선 순조 25년 | 증주삼자경(增註三字經) | 목활자(訓蒙三字經字) | 韓濠 서체를 자본으로 함 |
1850, 경술 조선 철종 1년 | 헌종어제(憲宗御製) | 동활자(再鑄 玄宗實錄字) | |
1850, 경술 조선 철종 1년 | 헌종어제합부열성어제(정종, 순종, 익종)(憲宗御製合附列聖御製) | 동활자(再鑄 玄宗實錄字) | |
1850, 경술 조선 철종 1년 | 헌종실록(憲宗實錄) | 동활자(再鑄 玄宗實錄字) |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국어(國語)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漢字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철종어제(哲宗御製)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漢字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영국조약(英國條約)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漢字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이원조례(离院條例)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漢字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관보(官報)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동국사략(東國史略)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공법회통(公法會通)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漢字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유학경위(儒學經緯)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황명조령(皇明詔令)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96, 병신 조선 건양 1년 | 신증심상소학(新訂尋常小學)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
1896, 병신 조선 건양 1년 | 지방제도개정서(地方制度改正書) | 동활자(再鑄 整理字 並用 한글字) | 한글字, 初鑄 整理字를 자본으로 大字 89,202字, 小字39,416字를 주조. 국한문병용. |
1858, 무오 조선 철종 9년 | 문원(文苑) | 동활자(三鑄韓構字) | 韓構字를 자본으로 31,829字를 주조 |
1869, 기사 조선 고종 6년 | 금강경석주(金剛經石註) | 목활자(寶光寺字) | 印書體 |
1869, 기사 조선 고종 6년 |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 | 목활자(寶光寺字) | 印書體 |
1869, 기사 조선 고종 6년 | 보편광명대수구다라니경(普徧光明大隨求陀羅尼經) | 목활자(寶光寺字) | 印書體 |
1883년경 조선 고종 20년 경 | 한성순보(漢城旬報) | 연활자(新鉛活字) | 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83년경 조선 고종 20년 경 | 한성주보(漢城週報) | 연활자(新鉛活字) | 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83년경 조선 고종 20년 경 | 농정촬요(農政撮要) | 연활자(新鉛活字) | 印書體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조선지지(朝鮮地誌)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국민소학독본(國民小學讀本)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만국지지(萬國地誌)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만국약사(萬國略史)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사민필지(士民必知)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조선역대사략(朝鮮歷代史略)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조선약사십과(朝鮮略史十課)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유몽휘편(牖蒙彙編)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1897, 을미 조선 고종 32년-34년 | 숙혜기략(夙惠記略) | 목활자(學部印書體字 並用 한글字) | 後期 校書館印書體字를 자본으로 함 |
1895, 을미 조선 고종 32년 | 진리편독삼자경(眞理便讀三字經) | 목활자(耶蘇三經字)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