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영남권 자료센터
호남권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서울특별시
강남구 (7)
강동구 (1)
강북구 (3)
강서구 (4)
광진구 (8)
구로구 (11)
금천구 (2)
노원구 (3)
도봉구 (1)
동대문구 (2)
동작구 (1)
마포구 (3)
서대문구 (4)
서초구 (6)
성동구 (1)
성북구 (82)
송파구 (1)
양천구 (11)
용산구 (1)
은평구 (2)
종로구 (11054)
중구 (318)
중랑구 (4)
광주광역시
광산구 (76)
남구 (16)
북구 (1)
서구 (1)
대구광역시
달서구 (2)
달성군 (186)
동구 (33)
북구 (5)
수성구 (3)
중구 (30)
대전광역시
대덕구 (106)
동구 (3)
유성구 (9)
중구 (23)
부산광역시
기장군 (10)
동구 (1)
동래구 (371)
사상구 (1)
사하구 (2)
수영구 (1)
중구 (1)
울산광역시
남구 (1)
울주군 (17)
중구 (4)
인천광역시
강화군 (80)
남동구 (1)
부평구 (8)
연수구 (1)
중구 (1)
강원도
강릉시 (197)
고성군 (70)
동해시 (20)
삼척시 (128)
양구군 (3)
양양군 (98)
영월군 (22)
원주시 (89)
인제군 (3)
정선군 (16)
철원군 (11)
춘천시 (190)
태백시 (2)
평창군 (19)
홍천군 (14)
화천군 (3)
횡성군 (38)
경기도
가평군 (3)
고양시 (63)
과천시 (5)
광명시 (2)
광주시 (67)
구리시 (29)
군포시 (1)
김포시 (8)
남양주시 (24)
수원시 (32)
시흥시 (2)
안산시 (65)
안성시 (22)
양주시 (56)
양평군 (29)
여주시 (6)
연천군 (11)
용인시 (60)
의정부시 (3)
이천시 (56)
파주시 (38)
평택시 (4)
포천시 (12)
화성시 (18)
경상남도
거제시 (161)
거창군 (279)
고성군 (12)
김해시 (176)
남해군 (61)
마산시 (7)
밀양시 (270)
사천시 (25)
산청군 (152)
양산시 (11)
의령군 (25)
진주시 (506)
진해시 (5)
창녕군 (15)
창원시 (27)
통영시 (18)
하동군 (70)
함안군 (164)
함양군 (194)
합천군 (252)
경상북도
경산시 (94)
경주시 (2186)
고령군 (27)
구미시 (228)
군위군 (35)
김천시 (51)
문경시 (46)
봉화군 (240)
상주시 (578)
성주군 (309)
안동시 (3651)
영덕군 (781)
영양군 (312)
영주시 (257)
영천시 (254)
예천군 (250)
울진군 (48)
의성군 (175)
청도군 (92)
청송군 (59)
칠곡군 (266)
포항시 (94)
전라남도
강진군 (324)
고흥군 (219)
곡성군 (189)
광양시 (134)
구례군 (340)
나주시 (704)
담양군 (255)
목포시 (5)
무안군 (112)
보성군 (1374)
순천시 (283)
신안군 (231)
여수시 (136)
영광군 (1363)
영암군 (1072)
완도군 (52)
장성군 (458)
장흥군 (588)
진도군 (32)
함평군 (199)
해남군 (1327)
화순군 (442)
전라북도
고창군 (499)
군산시 (128)
김제시 (520)
남원시 (546)
무주군 (169)
부안군 (1175)
순창군 (452)
완주군 (324)
익산시 (235)
임실군 (654)
장수군 (118)
전주시 (328)
정읍시 (587)
진안군 (350)
충청남도
계룡시 (13)
공주시 (60)
금산군 (19)
논산시 (59)
당진시 (3)
보령시 (12)
부여군 (57)
서산시 (117)
서천군 (5)
아산시 (104)
연기군 (16)
예산군 (59)
천안시 (19)
청양군 (107)
태안군 (1)
홍성군 (25)
충청북도
괴산군 (18)
단양군 (15)
보은군 (21)
영동군 (16)
옥천군 (16)
음성군 (3)
제천시 (30)
진천군 (3)
청원군 (1)
청주시 (24)
충주시 (2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08)
제주시 (556)
홈
>
디렉토리분류
>
지역분류
> 구미시
총
228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자료정렬 :
=== 선택 ===
자료명
작성시기
구축시기
유형
주제
소장처
시기
권역
전체
국왕·왕실
정치·행정
법제
경제
사회
교육·문화
종교·풍속
개인
전체
전체
문중
서원·향교
박물관·도서관
공공기관
해외
기타
개인
전체
전체
삼국․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
기타
전체
전체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전체
규장각
장서각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해외권
전체
고서
고문서
전체
전체
00년 선산향교(善山鄕校) 향안(鄕案)
/ 영남권역
발급:선산향교
/ 작성지역:경상도 선산부
/ 작성시기:미상
작성연대를 확정할 수 있는 연대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선산향교 향안이다. 향안에는 총 67명의 관직 및 직임과 성명을 기록하고 있다. 향안 등재자의 절반 이상이 선산향교가 소장하고 있는 나머지 3건의 향안에도 입록된 이들로써 본 향안의 작성은 적어도 1606년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선 향안 자료에는 별다른 부기사항이 없고,...
1452년 이우양(李遇陽) 분급문기(分給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이우양, 이,수취:진성이씨, 이철손
/ 작성지역:인동현
/ 작성시기:1452
1452년(문종2)에 이우양(李遇陽) 부부가 자식들에게 종을 상속하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지난 해 이우양이 병을 얻어 몇 차례 혼절하기까지 하자 이렇게 재산상속을 하게 된 것이다. 모두 16명의 종을 딸과 아들에게 7명씩 균등하게 나누어 주고, 대를 잇고 제사를 물려받는 아들에게 2명을 더 주었다. 이 재산이 절대로 남의 손에 들어가지 않...
1469년 전양지(田養智) 처 하씨(河氏) 소지(所志)
/ 고문서자료관
발급:하씨,수취:선산도호부
/ 작성지역:선산도호부
/ 작성시기:1469
1469년전양지(田養智)의 처 하씨는 친정 형제조카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고 이에 대한 관의 공증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올렸다. 하씨는 자식을 두지 못하여 자기 재산을 친정의 형제조카들에게로 상속하였다. 양자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고 친정으로 재산을 돌려주었다는 점에서 조선전기의 특성을 읽을 수 있다. 하씨는 사육신의 한 사람인 하위지(河緯...
1469년 전양지(田養智) 처 하씨(河氏) 전준입안(傳准立案)
/ 고문서자료관
발급:선산도호부,수취:하씨
/ 작성지역:선산도호부
/ 작성시기:1469
1469년(예종1)경전양지(田養智)의 처 하씨(河氏)는 선산도호부로부터 재산상속에 대한 공증 문서를 발급받았다. 자식이 없었던 과부 하씨는 친정 형제조카들에게 자기 재산을 나누어주었다. 이를 명확히 하고자 상속 내용에 대한 공증문서 등본을 관에 요청하여 이 문서를 내려 받았다.
1560년 하취심(河就深) 처 박씨(朴氏) 허여문기(許與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박씨,수취:하씨, 오홍
/ 작성지역:경상도 선산현
/ 작성시기:1560
1560년하취심의 처 박씨는 남편도 죽고 자신도 늙어 세 딸과 서녀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고 본 문서를 작성하였다. 박씨는 딸만 셋을 낳았고, 남편도 첩에게서 딸 한 명만을 얻고 죽었다. 그러나 박씨는 양자를 들이지 않고, 둘째 딸에게 조상제사와 자신들의 제사를 물려주었다. 첫째 딸은 맏아들에게 시집을 가 친정제사를 모시기 여의치 않으리라 ...
1601년 장현광(張顯光) 족계중수서(族契重修序)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도 인동현
/ 작성시기:1601
임진왜란 직후인 1601년 경상도(慶尙道)인동현(仁同縣)에 거주하는 인동장씨(仁同張氏) 일족이 결성한 족계(族契)의 서문으로, 인동장씨 가문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장현광(張顯光)이 작성하였다. 장현광의 서문에는 인동장씨 족계의 유래와 족계 결성 연유가 언급되어 있다. 원래 인동장씨 족계는 일족의 결속력 강화를 위해 16세게 중반에 결성되었었...
1603년 경상도(慶尙道) 선산부(善山府) 향안(鄕案)
/ 영남권역
작성지역:경상도 선산부
/ 작성시기:1603
1603년 경상도(慶尙道)선산부(善山府)에서 작성된 향안(鄕案)이다. 향안은 조선시대 지방의 자치행정기구인 유향소(留鄕所)의 구성원 명부이다. 유향소에는 당대 지역을 대표하던 인사들이 참여 할 수 있었다. 또한 향안에 입록되었다는 것은 향촌 사회에서 양반으로서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명분이기도 하였다. 1603년 선산부의 향안에도...
1603년 선산향교(善山鄕校) 향안(鄕案)
/ 영남권역
발급:선산향교
/ 작성지역:경상도 선산부
/ 작성시기:1603
1603년에 작성된 善山鄕校 《鄕案》이다. 당시 선산향교의 향중사류들의 명부로서 총 49명의 인명과 그들의 官職 및 品階, 職任 등이 기록되어 있고 본관이나 자호, 생년 및 가족관계 등에 관한 사항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총 49명으로 14개의 성관 중 金氏가 18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李氏와 朴氏, 崔氏, 許氏 등 순이다. 입록자의 관...
1604년 장현광(張顯光) 소지(所志)
/ 고문서자료관
발급:장현광,수취:경상도순찰사
/ 작성지역:인동부 읍내면 남산리
/ 작성시기:1604
1604년 장현광(張顯光) 소지(所志)
/ 고문서자료관
발급:장현광,수취:경상도순찰사
/ 작성지역:인동부 읍내면 남산리
/ 작성시기:1604
1
2
3
4
5
6
7
8
9
10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