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강원권역 자료센터
영남권역 자료센터
충청권역 자료센터
호남권역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서울특별시
강남구 (7)
강동구 (1)
강북구 (3)
강서구 (4)
광진구 (8)
구로구 (11)
노원구 (3)
도봉구 (1)
동대문구 (2)
동작구 (1)
마포구 (3)
서대문구 (4)
서초구 (6)
성동구 (1)
성북구 (82)
송파구 (1)
양천구 (11)
용산구 (1)
은평구 (2)
종로구 (10858)
중구 (318)
중랑구 (4)
부산광역시
기장군 (10)
동구 (1)
동래구 (371)
사상구 (1)
사하구 (2)
수영구 (1)
중구 (1)
대구광역시
달서구 (2)
달성군 (186)
동구 (33)
북구 (5)
수성구 (3)
중구 (30)
군위군 (35)
인천광역시
강화군 (80)
남동구 (1)
부평구 (8)
연수구 (1)
중구 (1)
광주광역시
광산구 (76)
남구 (16)
북구 (1)
서구 (1)
대전광역시
대덕구 (110)
동구 (3)
유성구 (9)
중구 (23)
울산광역시
남구 (1)
울주군 (17)
중구 (4)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가평군 (5)
고양시 (63)
과천시 (4)
광명시 (2)
광주시 (73)
구리시 (29)
군포시 (1)
김포시 (8)
남양주시 (24)
수원시 (32)
시흥시 (2)
안산시 (65)
안성시 (22)
양주시 (55)
양평군 (29)
여주시 (6)
연천군 (11)
용인시 (61)
의정부시 (3)
이천시 (56)
파주시 (35)
평택시 (4)
포천시 (12)
화성시 (1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203)
고성군 (70)
동해시 (21)
삼척시 (122)
양구군 (3)
양양군 (98)
영월군 (28)
원주시 (89)
인제군 (3)
정선군 (16)
철원군 (11)
춘천시 (190)
태백시 (2)
평창군 (20)
홍천군 (14)
화천군 (3)
횡성군 (38)
충청북도
괴산군 (18)
단양군 (15)
보은군 (53)
영동군 (16)
옥천군 (16)
음성군 (3)
제천시 (31)
진천군 (4)
청주시 (51)
충주시 (35)
충청남도
계룡시 (13)
공주시 (65)
금산군 (19)
논산시 (60)
당진시 (3)
보령시 (13)
부여군 (58)
서산시 (109)
서천군 (5)
아산시 (101)
예산군 (59)
천안시 (19)
청양군 (111)
태안군 (1)
홍성군 (25)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499)
군산시 (129)
김제시 (520)
남원시 (542)
무주군 (169)
부안군 (1175)
순창군 (452)
완주군 (324)
익산시 (235)
임실군 (654)
장수군 (118)
전주시 (328)
정읍시 (587)
진안군 (350)
전라남도
강진군 (317)
고흥군 (219)
곡성군 (190)
광양시 (134)
구례군 (340)
나주시 (699)
담양군 (251)
목포시 (5)
무안군 (111)
보성군 (1374)
순천시 (283)
신안군 (231)
여수시 (136)
영광군 (1362)
영암군 (1067)
완도군 (52)
장성군 (458)
장흥군 (588)
진도군 (24)
함평군 (199)
해남군 (608)
화순군 (442)
경상북도
경산시 (94)
경주시 (2186)
고령군 (27)
구미시 (228)
김천시 (51)
문경시 (46)
봉화군 (240)
상주시 (579)
성주군 (309)
안동시 (3651)
영덕군 (781)
영양군 (312)
영주시 (257)
영천시 (254)
예천군 (250)
울진군 (47)
의성군 (175)
청도군 (92)
청송군 (59)
칠곡군 (266)
포항시 (94)
경상남도
거제시 (161)
거창군 (279)
고성군 (12)
김해시 (176)
남해군 (61)
밀양시 (270)
사천시 (25)
산청군 (152)
양산시 (10)
의령군 (25)
진주시 (506)
창녕군 (15)
창원시 (39)
통영시 (18)
하동군 (74)
함안군 (164)
함양군 (194)
합천군 (252)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08)
제주시 (556)
홈
>
디렉토리분류
>
지역분류
> 화순군
총
442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자료정렬 :
=== 선택 ===
자료명
작성시기
구축시기
유형
주제
소장처
시기
권역
전체
국왕·왕실
정치·행정
법제
경제
사회
교육·문화
종교·풍속
개인
전체
전체
문중
서원·향교
박물관·도서관
공공기관
해외
기타
개인
전체
전체
삼국․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
기타
전체
전체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전체
규장각
장서각
강원권
영남권
충청권
호남권
해외권
전체
고서
고문서
전체
전체
1589년 김부륜(金富倫)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김부륜
/ 작성지역:전라도 동복현
/ 작성시기:1589
1589년 (선조 22) 5월에 김부륜이 동복현감으로 있으면서 조카에게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는 내용의 편지이다. 1589년에 문과에 급제한 종질 김해의 소식을 듣고 이를 축하하면서 다른 자제들에게도 학문을 권면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자신의 벼슬살이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1650년 장중인(張仲仁) 서간(書簡)
/ 호남권역
발급:장중인,수취:안방준
/ 작성지역:전라도 능주목
/ 작성시기:1650
1650년(효종1)1월 24일에 장중인이 안방준에게 보낸 편지이다. 병자호란의 와중에 한 번 인사드렸던 일이 꿈만 같다는 얘기와 능주목사로 부임하여 가르침을 받을 수 있게 되어 기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안방준의 교유관계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1666년 최후헌(崔後憲) 호구단자(戶口單子)
/ 호남권역
발급:최후헌,수취:화순현(和順縣)
/ 작성지역:화순현
/ 작성시기:1666
1678년 장운구(張雲衢)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동복현,수취:장운구
/ 작성지역:同福縣 內西面 學堂村
/ 작성시기:1678
1678(숙종4)년에 동복현(同福縣)에서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학당촌(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에 거주하는 유학 장운구(張雲衢)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가족으로는 부인 김해김씨(金海金氏)와 동생 유학 장운도(張雲翿), 아들 장만령(張萬㱓)이 기재되어 있다.
1699년 김세빈(金世彬)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호남권역
발급:함광윤,수취:김세빈
/ 작성지역:전라남도 화순군
/ 작성시기:1699
1699년1월 5일에 함광윤이 김세빈에게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이다. 함광윤이 동고미원에 있는 2마지기의 밭과 밭 위쪽에 있는 灰田을 포함해서 나락 3섬을 받았다.
1705년 장운구(張雲衢)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동복현,수취:장운구
/ 작성지역:同福縣 內西面 學堂里
/ 작성시기:1705
1705(숙종31)년에 동복현(同福縣)에서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학당리(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에 거주하는 유학 장운구(張雲衢)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가족으로는 아들 유학 장세준(張世俊)과 세준의 며느리 여산송씨(礪山宋氏), 둘째 아들 유학 장세보(張世輔)가 기재되어 있다.
1711년 박태흥(朴泰興)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능주목,수취:박태흥
/ 작성지역:능주목 서이면 벽지동
/ 작성시기:1711
1714년 김명옥(金鳴玉)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능주목,수취:김명옥
/ 작성지역:전라도 능주목
/ 작성시기:1714
1714년(숙종40)에 능주목(綾州牧)에서 전라도 능주목 서이면 도장리(현재 전남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에 사는 김명옥(金鳴玉)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처 서씨(徐氏)와 서모(庶母) 김씨(金氏), 서제(庶弟) 김윤옥(金潤玉)이 가족으로 등재되었으며, 노비는 총 6구(口)가 있었다.
1717년 김취삼(金就三)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동복현,수취:김취삼
/ 작성지역:전라도 동복현
/ 작성시기:1717
1717년 장치언(張致彦)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동복현,수취:장치언
/ 작성지역:同福縣 內西面 學鶴灘里
/ 작성시기:1717
1717년(숙종43)에 동복현(同福縣)에서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학탄리(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에 거주하는 유학 장치언(張致彦)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가족으로는 부인 여산송씨(礪山宋氏), 동생 유학 장시언(張時彦), 제수 천안김씨(天安金氏), 둘째 동생 유학 장상언(張相彦), 서모(庶母) 김해김씨(金海金氏), 아들 유학 장...
1723년 장치언(張致彦)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동복현,수취:장치언
/ 작성지역:同福縣 內西面 學堂里
/ 작성시기:1723
1723년(경종3)에 동복현(同福縣)에서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학당리(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에 거주하는 유학 장치언(張致彦)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가족으로는 부인 여산송씨(礪山宋氏), 동생 유학 장시언(張時彦), 제수 천안김씨(天安金氏), 둘째 동생 유학 장상언(張相彦)이 기재되어 있다.
1726년 윤석(尹碩)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능주목,수취:윤석
/ 작성지역:전라도 능주목
/ 작성시기:1726
1726년 장치언(張致彦) 호구단자(戶口單子)
/ 호남권역
발급:장치언,수취:동복현
/ 작성지역:同福縣 內西面 學堂里
/ 작성시기:1726
1726년(영조2)에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학당리(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에 거주하는 유학 장치언(張致彦)이 동복현(同福縣)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가족으로는 부인 여산송씨(礪山宋氏), 동생 장시언(張時彦)과 장상언(張相彦), 그리고 딸이 기재되어 있다. 동생 장시언은 따로 거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1741년 장익봉(張翼鳳)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호남권역
발급:강치주,수취:장익봉
/ 작성지역:전라도 내서면
/ 작성시기:1741
1741년(영조 17) 11월 12일에 답주 강치주가 전라도 동복형 내서면 서몽교 후평(현재 전남 화순군 이서면)에 있는 논을 장익봉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문서이다. 논은 2배미, 2마지기의 면적이며, 거래가격은 10냥 2전이다. 이 자료는 조선조 후기 향촌사회의 토지경제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1744년 김만정(金萬挺)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호남권역
발급:원산,수취:김만정
/ 작성지역:전라도 동복현 내남면
/ 작성시기:1744
1744년10월 6일에 사망한 동생을 대신하여 원산이 전라도 동복현 내남면 영구말평에 있는 콩밭을 김만정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문서이다. 밭은 3말 5되지기의 면적이며 거래가격은 6냥이다.
1745년 이윤▣(李胤▣) 초사(招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이윤▣,수취:화순현
/ 작성지역:전라도 화순현
/ 작성시기:1745
1745년 이윤덕(李潤德) 입안(立案)
/ 고문서자료관
발급:화순현,수취:이윤덕
/ 작성지역:전라도 화순현
/ 작성시기:1745
1745년 초사(招辭)
/ 고문서자료관
작성지역:전라도 화순현
/ 작성시기:1745
1747년 박상언(朴尙彦) 준호구(準戶口)
/ 호남권역
발급:능주목,수취:박상언
/ 작성지역:능주목 서이면
/ 작성시기:1747
1749년 박영환(朴英煥) 시장문기(柴場文記)
/ 호남권역
발급:정만인,수취:박영환
/ 작성지역:전라도 능주목 도장면 벽동
/ 작성시기:1749
1749년2월 15일에 정만인이 전라도 능주목 도장면 벽동촌에 있는 柴場을 박영환에게 팔면서 작성한 시장문기이다. 당시 상중에 있던 박영환은 금양처를 매득하여 부모의 묘소로 사용하고자 하였고, 정만인은 빈한한 상태였기 때문에 이 시장을 25냥을 받고 팔았다.
1
2
3
4
5
6
7
8
9
10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