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강원권역 자료센터
영남권역 자료센터
충청권역 자료센터
호남권역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서울특별시
강남구 (7)
강동구 (1)
강북구 (3)
강서구 (4)
광진구 (8)
구로구 (11)
노원구 (3)
도봉구 (1)
동대문구 (2)
동작구 (1)
마포구 (3)
서대문구 (4)
서초구 (6)
성동구 (1)
성북구 (82)
송파구 (1)
양천구 (11)
용산구 (1)
은평구 (2)
종로구 (10858)
중구 (318)
중랑구 (4)
부산광역시
기장군 (10)
동구 (1)
동래구 (371)
사상구 (1)
사하구 (2)
수영구 (1)
중구 (1)
대구광역시
달서구 (2)
달성군 (186)
동구 (33)
북구 (5)
수성구 (3)
중구 (30)
군위군 (35)
인천광역시
강화군 (80)
남동구 (1)
부평구 (8)
연수구 (1)
중구 (1)
광주광역시
광산구 (76)
남구 (16)
북구 (1)
서구 (1)
대전광역시
대덕구 (110)
동구 (3)
유성구 (9)
중구 (23)
울산광역시
남구 (1)
울주군 (17)
중구 (4)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가평군 (5)
고양시 (63)
과천시 (4)
광명시 (2)
광주시 (73)
구리시 (29)
군포시 (1)
김포시 (8)
남양주시 (24)
수원시 (32)
시흥시 (2)
안산시 (65)
안성시 (22)
양주시 (55)
양평군 (29)
여주시 (6)
연천군 (11)
용인시 (61)
의정부시 (3)
이천시 (56)
파주시 (35)
평택시 (4)
포천시 (12)
화성시 (1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203)
고성군 (70)
동해시 (21)
삼척시 (122)
양구군 (3)
양양군 (98)
영월군 (28)
원주시 (89)
인제군 (3)
정선군 (16)
철원군 (11)
춘천시 (190)
태백시 (2)
평창군 (20)
홍천군 (14)
화천군 (3)
횡성군 (38)
충청북도
괴산군 (18)
단양군 (15)
보은군 (53)
영동군 (16)
옥천군 (16)
음성군 (3)
제천시 (31)
진천군 (4)
청주시 (51)
충주시 (35)
충청남도
계룡시 (13)
공주시 (65)
금산군 (19)
논산시 (60)
당진시 (3)
보령시 (13)
부여군 (58)
서산시 (109)
서천군 (5)
아산시 (101)
예산군 (59)
천안시 (19)
청양군 (111)
태안군 (1)
홍성군 (25)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499)
군산시 (129)
김제시 (520)
남원시 (542)
무주군 (169)
부안군 (1175)
순창군 (452)
완주군 (324)
익산시 (235)
임실군 (654)
장수군 (118)
전주시 (328)
정읍시 (587)
진안군 (350)
전라남도
강진군 (317)
고흥군 (219)
곡성군 (190)
광양시 (134)
구례군 (340)
나주시 (699)
담양군 (251)
목포시 (5)
무안군 (111)
보성군 (1374)
순천시 (283)
신안군 (231)
여수시 (136)
영광군 (1362)
영암군 (1067)
완도군 (52)
장성군 (458)
장흥군 (588)
진도군 (24)
함평군 (199)
해남군 (608)
화순군 (442)
경상북도
경산시 (94)
경주시 (2186)
고령군 (27)
구미시 (228)
김천시 (51)
문경시 (46)
봉화군 (240)
상주시 (579)
성주군 (309)
안동시 (3651)
영덕군 (781)
영양군 (312)
영주시 (257)
영천시 (254)
예천군 (250)
울진군 (47)
의성군 (175)
청도군 (92)
청송군 (59)
칠곡군 (266)
포항시 (94)
경상남도
거제시 (161)
거창군 (279)
고성군 (12)
김해시 (176)
남해군 (61)
밀양시 (270)
사천시 (25)
산청군 (152)
양산시 (10)
의령군 (25)
진주시 (506)
창녕군 (15)
창원시 (39)
통영시 (18)
하동군 (74)
함안군 (164)
함양군 (194)
합천군 (252)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08)
제주시 (556)
홈
>
디렉토리분류
>
지역분류
> 남원시
총
542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자료정렬 :
=== 선택 ===
자료명
작성시기
구축시기
유형
주제
소장처
시기
권역
전체
국왕·왕실
정치·행정
법제
경제
사회
교육·문화
종교·풍속
개인
전체
전체
문중
서원·향교
박물관·도서관
공공기관
해외
기타
개인
전체
전체
삼국․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
기타
전체
전체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전체
규장각
장서각
강원권
영남권
충청권
호남권
해외권
전체
고서
고문서
전체
전체
1575년 방응성(房應星) 처(妻) 소씨(蘇氏) 별급명문(別給明文)
/ 호남권역
발급:소씨,수취:황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575
1575년 3월 4일에 전라도 남원부에 사는 소씨부인이 외손 황진에게 노비 2구와 토지 12마지기를 별급하면서 작성한 별급명문이다. 황진이 늦은 나이에 득남하였기 때문에 특별히 분재한 것이다.
1577년 방응성(房應星) 처(妻) 소씨(蘇氏) 별급명문(別給明文)
/ 호남권역
발급:소씨,수취:황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577
1577년 2월 23일에 전라도 남원부에 사는 소씨부인이 외손 권지훈련원봉사황진에게 노비 2구와 토지 10마지기를 별급하면서 작성한 별급명문이다. 황진이 무과에 급제하여 특별히 따로 분재한 것이다.
1582년 황적(黃迪) 형제(兄弟) 화회명문(和會明文)
/ 호남권역
발급:황적, 황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582
1577년 5월에 황적, 황진 형제가 어머니 복(服)을 마친 후 부모의 유산을 나누어 가지면서 작성한 화회명문이다. 제사를 위한 승중위(承重位) 몫과 신노비를 제외한, 그 나머지 재산을 평균분집하였다.
1593년 황정직(黃廷稷) 별급문기(別給文記)
/ 호남권역
발급:소씨,수취:황정직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주포방
/ 작성시기:1593
1593년 11월 20일에 남원부 주포방에 사는 진주소씨가 자신의 외증손 황정직에게 재산을 증여하면서 작성한 별급문기이다. 소씨는 남편이 사망하자 외손자 황진을 데려다 키우면서 의지하였는데, 무과에 급제해 관직에 나가자 그의 아들인 황정직을 데려와 키웠다. 황진마저도 사망하자 외증손자인 황정직에게 재산을 증여하였다.
1604년 황정현(黃廷顯) 형제(兄弟) 화회명문(和會明文)
/ 호남권역
발급:황정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04
1604년 12월 1일에 황적의 대자(代子) 정현과 황진의 처 소씨가 새로 발견한 노비를 평균분집하면서 작성한 화회명문이다. 황적, 황진 형제는 1582년에 화회 분재한 적이 있었는데, 2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유류노비가 발견되어서 다시 분재한 것이다. 이 때 황진 형제는 사망한 후였다.
1623년 진주소씨(晉州蘇氏) 분급문서(分給文書)
/ 호남권역
발급:소씨,수취:황정직, 황정열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23
1623년 6월 20일에 황진장군의 아내 소씨가 자신의 두 아들 황정직과 황정열에게 재산을 분급하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소씨는 자신이 나이가 많이 들고 병이 들어 언제 죽을지 몰라서 재산을 나누어 준다고 분급사유를 밝히고 있다. 황진의 두 아들 황정직과 황정열은 본관이 장수, 거주지는 남원이다.
1646년 황정직(黃廷稷) 별급문서(別給文書)
/ 호남권역
발급:황정직,수취:황흔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46
1646년 5월 초 7일에 황정직이 늘그막에 얻은 아들 황흔이 소과에 합격하자 그에게 재산을 별급하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황정직은 47세 때 가문을 이을 아들 황흔을 낳았다.
1649년 관찰사겸순찰사(觀察使兼巡察使) 절급첩(折給帖)
/ 고문서자료관
발급:전라도,수취:노봉서원(露峯書院) 집강(執綱)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49
1649년 노봉서원(露峯書院) 내알자(來謁者) 심원록(尋院錄)
/ 고문서자료관
발급:노봉서원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사동면 서원리
/ 작성시기:1649
1663년 황위(黃暐) 처(妻) 남원양씨(南原楊氏) 화회문기(和會文記)
/ 호남권역
발급:양씨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
/ 작성시기:1663
1663년 3월 2일에 황위의 부인 남원양씨가 재산을 나눠주면서 작성한 화회문기이다. 양씨가 남편이 죽은 지 10년 째 되는 해에 자식 5남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면서 작성한 화회문서이다. 그러나 딸이 받은 재산과 뒷면의 노비의 용도는 알 수 없다.
1669년 김명열(金命說) 정사(呈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명열,수취:전라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69
1669년 김명열(金命說) 정사(呈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명열,수취:전라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69
1669년 김명열(金命說) 정사(呈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명열,수취:전라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69
1669년 김명열(金命說) 정사(呈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명열,수취:전라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69
1669년 김명열(金命說) 정사(呈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명열,수취:전라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69
1669년 김명열(金命說) 정사(呈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명열,수취:전라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69
1669년 김명열(金命說) 정사(呈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명열,수취:전라도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69
1669년 최유지(崔攸之) 준호구(準戶口)
/ 고문서자료관
발급:남원부,수취:최유지
/ 작성지역:전라도 남원부
/ 작성시기:1669
1675년 안후기(安後錡) 준호구(準戶口)
/ 고문서자료관
발급:안후기,수취:남원부
/ 작성지역:남원부 서면 금안방
/ 작성시기:1675
1678년 안후기(安後錡) 준호구(準戶口)
/ 고문서자료관
발급:안후기,수취:남원부
/ 작성지역:남원부 서면 금안방
/ 작성시기:1678
1
2
3
4
5
6
7
8
9
10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