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강원권역 자료센터
영남권역 자료센터
충청권역 자료센터
호남권역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서울특별시
강남구 (7)
강동구 (1)
강북구 (3)
강서구 (4)
광진구 (8)
구로구 (11)
금천구 (2)
노원구 (3)
도봉구 (1)
동대문구 (2)
동작구 (1)
마포구 (3)
서대문구 (4)
서초구 (6)
성동구 (1)
성북구 (82)
송파구 (1)
양천구 (11)
용산구 (1)
은평구 (2)
종로구 (11053)
중구 (318)
중랑구 (4)
광주광역시
광산구 (76)
남구 (16)
북구 (1)
서구 (1)
대구광역시
달서구 (2)
달성군 (186)
동구 (33)
북구 (5)
수성구 (3)
중구 (30)
대전광역시
대덕구 (110)
동구 (3)
유성구 (9)
중구 (23)
부산광역시
기장군 (10)
동구 (1)
동래구 (371)
사상구 (1)
사하구 (2)
수영구 (1)
중구 (1)
울산광역시
남구 (1)
울주군 (17)
중구 (4)
인천광역시
강화군 (80)
남동구 (1)
부평구 (8)
연수구 (1)
중구 (1)
강원도
강릉시 (203)
고성군 (70)
동해시 (21)
삼척시 (122)
양구군 (3)
양양군 (98)
영월군 (28)
원주시 (89)
인제군 (3)
정선군 (16)
철원군 (11)
춘천시 (190)
태백시 (2)
평창군 (20)
홍천군 (14)
화천군 (3)
횡성군 (38)
경기도
가평군 (5)
고양시 (63)
과천시 (5)
광명시 (2)
광주시 (73)
구리시 (29)
군포시 (1)
김포시 (8)
남양주시 (24)
수원시 (32)
시흥시 (2)
안산시 (65)
안성시 (22)
양주시 (57)
양평군 (29)
여주시 (6)
연천군 (11)
용인시 (61)
의정부시 (3)
이천시 (56)
파주시 (38)
평택시 (4)
포천시 (12)
화성시 (18)
경상남도
거제시 (161)
거창군 (279)
고성군 (12)
김해시 (176)
남해군 (61)
마산시 (7)
밀양시 (270)
사천시 (25)
산청군 (152)
양산시 (11)
의령군 (25)
진주시 (506)
진해시 (5)
창녕군 (15)
창원시 (27)
통영시 (18)
하동군 (74)
함안군 (164)
함양군 (194)
합천군 (252)
경상북도
경산시 (94)
경주시 (2186)
고령군 (27)
구미시 (228)
군위군 (35)
김천시 (51)
문경시 (46)
봉화군 (240)
상주시 (580)
성주군 (309)
안동시 (3651)
영덕군 (781)
영양군 (312)
영주시 (257)
영천시 (254)
예천군 (250)
울진군 (47)
의성군 (175)
청도군 (92)
청송군 (59)
칠곡군 (266)
포항시 (94)
전라남도
강진군 (324)
고흥군 (219)
곡성군 (190)
광양시 (134)
구례군 (340)
나주시 (705)
담양군 (255)
목포시 (5)
무안군 (112)
보성군 (1374)
순천시 (283)
신안군 (231)
여수시 (136)
영광군 (1363)
영암군 (1072)
완도군 (52)
장성군 (458)
장흥군 (588)
진도군 (32)
함평군 (199)
해남군 (1327)
화순군 (442)
전라북도
고창군 (499)
군산시 (129)
김제시 (520)
남원시 (546)
무주군 (169)
부안군 (1175)
순창군 (452)
완주군 (324)
익산시 (235)
임실군 (654)
장수군 (118)
전주시 (328)
정읍시 (587)
진안군 (350)
충청남도
계룡시 (13)
공주시 (66)
금산군 (19)
논산시 (60)
당진시 (3)
보령시 (13)
부여군 (58)
서산시 (117)
서천군 (5)
아산시 (104)
연기군 (16)
예산군 (59)
천안시 (19)
청양군 (111)
태안군 (1)
홍성군 (25)
충청북도
괴산군 (18)
단양군 (15)
보은군 (53)
영동군 (16)
옥천군 (16)
음성군 (3)
제천시 (31)
진천군 (4)
청원군 (1)
청주시 (50)
충주시 (3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08)
제주시 (556)
홈
>
디렉토리분류
>
지역분류
> 부안군
총
1175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자료정렬 :
=== 선택 ===
자료명
작성시기
구축시기
유형
주제
소장처
시기
권역
전체
국왕·왕실
정치·행정
법제
경제
사회
교육·문화
종교·풍속
개인
전체
전체
문중
서원·향교
박물관·도서관
공공기관
해외
기타
개인
전체
전체
삼국․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
기타
전체
전체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전체
규장각
장서각
강원권
영남권
충청권
호남권
해외권
전체
고서
고문서
전체
전체
1521년 부(父) 김(金) 별급문기(別給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수취:억년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입하면 우반리
/ 작성시기:1521
1541년 부안현선생안(扶安縣先生案)
/ 호남권역
발급:부안 노휴재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 작성시기:1541
1541년(중종 36)에 전라도 부안현에서 처음 작성되어 계속 증보된 수령의 선생안(先生案)이다. 책의 맨 앞에 1541년(중종 36) 겨울에 김윤정(金胤鼎)이 작성한 서문이 실려 있으며, 고려말인 우왕 8년(1382)부터 1906년에 이르기까지 부안의 수령을 사람들의 명단이 실려 있다. 명단에는 성명과 부임 및 이임 연원일, 이임사유 등...
1570년 김경순(金景順)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호남권역
발급:김씨,수취:김경순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입석하리면 우반동변리
/ 작성시기:1570
1570년에 부안현에 사는 김경순의 숙모 김씨는 형편이 어려워 환곡을 갚을 길이 없자 논을 같은 고을에 사는 조카에게 팔게 되었다. 이 문서는 이때 김씨가 작성한 문서로 그는 이 논을 오승목(五升木) 일백필의 가격에 팔았다.
1571년 부(父) 김(金) 허여문기(許與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수취:김경수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입하면 우반리
/ 작성시기:1571
1588년 김개 별급문기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수취:김홍원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입하면 우반리
/ 작성시기:1588
1588년 김개(金漑) 분재기(分財記)
/ 호남권역
발급:김개,수취:김홍원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 작성시기:1588
별급문서란 어떤 특별한 일이나 축하할 일이 있을 때 특별히 재산을 나눠주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본 문서는 부안에 사는 김개가 손자인 김홍원이 18세에 진사시에 합격하자 이를 축하하며 노비 18인을 나누어 주면서 작성한 것이다.
1588년 부(父) 김(金) 별급문기(別給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수취:김경수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입하면 우반리
/ 작성시기:1588
1588년 조부(祖父) 김(金) 별급문기(別給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수취:김홍원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입하면 우반리
/ 작성시기:1588
1591년 고홍건(高弘建) 별급문기(別給文記)
/ 호남권역
수취:고홍건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 작성시기:1591
1591년 4월 11일에 고사렴이 손자 고홍건에게 그에게 재산의 일부를 몫지어 별급(別給)하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당시 고홍건의 나이는 12세로 아직 영성군 고희 앞으로 입계하기 전인데, 그의 조부 고사렴이 특별히 기른 정을 생각하고 이와 같이 별도로 분재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1592년 고희(高曦) 처(妻) 부령김씨(扶寧金氏) 분재기(分財記)
/ 호남권역
발급:성씨,수취:김씨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 작성시기:1592
1592년 2월 김의복의 처인 성씨가 딸 부령김씨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노비 2명을 특별히 나누어 주었다. 이것을 명문이라고 쓴 것은 앞으로 증거가 확실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밝힌 글이기 때문이다.
1606년 최시영(崔時永) 차첩(差帖)
/ 호남권역
발급:부안현,수취:최시영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 작성시기:1606
1606년(선조 39)에 행현감이 유학 최시영(崔時永)을 여제(厲祭)의 아헌관(亞獻官)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여제는 역질(疫疾)의 퇴치를 위하여 여귀(厲鬼)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1607년 김홍원(金弘遠) 처(妻) 김씨(金氏) 남매(男妹) 화회문기(和會文記)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씨,수취:김씨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입하면 우반리
/ 작성시기:1607
1621년 김담양댁노(金潭陽宅奴) 헌세(獻世)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 호남권역
발급:덕영,수취:헌세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건선면
/ 작성시기:1621
1621윤2월14일에 부안현에 사는 승 덕영은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아 갈아먹던 논 8마지기를 사정이 생겨서 팔게 되었다. 본 문서는 이때 덕영이 작성한 문서로 그는 정목면 15필을 받고 그 논을 팔았다. 그의 논이 있는 보남지역은 오늘날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1621년 김담양댁노(金潭陽宅奴) 헌세(獻世)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1
/ 호남권역
발급:박풍월,수취:헌세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건선면
/ 작성시기:1621
1621년2월13일에 부안현에 사는 공동은 자신이 구입해서 농사를 짓고 있던 논 27짐을 사정이 생겨서 팔게 되었다. 본 문서는 이때 공동이 작성한 문서로 그는 목면 30필을 받고 그 논을 팔았다. 그의 논이 있는 보남지역은 오늘날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1622년 김사과댁노(金司果宅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호남권역
발급:최응춘,수취:김사과댁노(金司果宅奴)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건선면
/ 작성시기:1622
1622년2월6일에 부안현에 사는 최응춘은 공납과 관련된 일로 서울에 갔다가 일이 잘못되어 빚을 지게 되었고 이를 급히 갚아야할 상황이 되자 죽은 형 몫의 토지까지 팔게 되었다. 본 문서는 이때 최응춘이 작성한 문서로 그는 이 논을 목면 11필을 받고 같은 현에 사는 김경수에게 팔았다. 그의 논이 있는 보남지역은 오늘날 전라북도 부안군 보...
1629년 심명세(沈命世) 분재기(分財記)
/ 호남권역
발급:심명세,수취:김홍원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 작성시기:1629
원주목사심명세가 함경도 부령으로 유배를 가고 있는 김홍원을 걱정하며 노래잘하는 계집종을 주었는데 본 문서는 얼마 후에 이에 대해 심명세가 정식으로 작성해준 별급문기이다이다. 별급문기란 어떤 특별한 일이나 축하할 일이 있을 때 특별히 재산을 나눠주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1632년 고(故) 인세처(仁世妻) 비(婢) 길덕(吉德)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호남권역
발급:길덕
/ 작성지역:부안현 건선면
/ 작성시기:1632
16321월에 부안현에 사는 사비 길덕이 자신이 구입해서 농사를 짓고 있던 논 7마지기를 사정이 생겨서 팔게 되었다. 본 문서는 이때 사비 길덕이 작성한 문서로 그녀는 이 논을 6승목면 10필의 값으로 팔았다. 그의 논이 있는 보남은 오늘날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1634년 김홍원(金弘遠) 의송(議送)
/ 호남권역
발급:김홍원,수취:전라감영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 작성시기:1634
1634년(인조12)9월에 전라도 부안현에 사는 김홍원이 임실현에 있는 개간지에 대한 입안을 신청하기 위해 전라도겸순찰사에게 제출한 의송이다. 김홍원의 조부인 김개가 임실현 말목과 걸명에 터를 잡고 개간하여 살다가 임진왜란 이후 오랫동안 묵혀두어 황무지가 되었다. 김개의 손자인 김홍원은 자신이 이 옛터를 일구어 전답으로 개간할 생각을 가지...
1634년 김홍원(金弘遠) 소지(所志)
/ 고문서자료관
발급:김홍원,수취:전라도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현
/ 작성시기:1634
1634년 영원군댁호노(瀛原君宅戶奴) 막실(莫失)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호남권역
발급:김득명,수취:막실
/ 작성지역:전라도 부안군 현내
/ 작성시기:1634
1634년 3월에 영원군댁 호노(戶奴) 막실이 현내에 있는 김득명의 밭을 사면서 받은 토지매매명문이다. 거래규모는 22負인 밭이며, 거래가격은 무명베 20필이다.
1
2
3
4
5
6
7
8
9
10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