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자료센터 사이트맵
연구사업 개요
연구 내용
한국학자료 서비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강원권역 자료센터
영남권역 자료센터
충청권역 자료센터
호남권역 자료센터
해외권역 자료센터
공지사항
이용자참여
한국학자료포털 사이트맵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고지도
현대지도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통합검색
데이터 검색중입니다....
유형분류
주제분류
소장처분류
시기분류
지역분류
권역분류
한국학자료연표
한국고서연표
고지도
현대지도
고문서서체용례사전
서명용례서비스
지역별
유형별
지명별
관직명
나라명
건물명
관청명
인명
지명
문헌
이두용례사전
특수용어용례사전
고문헌용례사전
고문헌용어용례사전
서울특별시
강남구 (7)
강동구 (1)
강북구 (3)
강서구 (4)
광진구 (8)
구로구 (11)
노원구 (3)
도봉구 (1)
동대문구 (2)
동작구 (1)
마포구 (3)
서대문구 (4)
서초구 (6)
성동구 (1)
성북구 (82)
송파구 (1)
양천구 (11)
용산구 (1)
은평구 (2)
종로구 (10858)
중구 (318)
중랑구 (4)
부산광역시
기장군 (10)
동구 (1)
동래구 (371)
사상구 (1)
사하구 (2)
수영구 (1)
중구 (1)
대구광역시
달서구 (2)
달성군 (186)
동구 (33)
북구 (5)
수성구 (3)
중구 (30)
군위군 (35)
인천광역시
강화군 (80)
남동구 (1)
부평구 (8)
연수구 (1)
중구 (1)
광주광역시
광산구 (76)
남구 (16)
북구 (1)
서구 (1)
대전광역시
대덕구 (110)
동구 (3)
유성구 (9)
중구 (23)
울산광역시
남구 (1)
울주군 (17)
중구 (4)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가평군 (5)
고양시 (63)
과천시 (4)
광명시 (2)
광주시 (73)
구리시 (29)
군포시 (1)
김포시 (8)
남양주시 (24)
수원시 (32)
시흥시 (2)
안산시 (65)
안성시 (22)
양주시 (55)
양평군 (29)
여주시 (6)
연천군 (11)
용인시 (61)
의정부시 (3)
이천시 (56)
파주시 (35)
평택시 (4)
포천시 (12)
화성시 (1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203)
고성군 (70)
동해시 (21)
삼척시 (122)
양구군 (3)
양양군 (98)
영월군 (28)
원주시 (89)
인제군 (3)
정선군 (16)
철원군 (11)
춘천시 (190)
태백시 (2)
평창군 (20)
홍천군 (14)
화천군 (3)
횡성군 (38)
충청북도
괴산군 (18)
단양군 (15)
보은군 (53)
영동군 (16)
옥천군 (16)
음성군 (3)
제천시 (31)
진천군 (4)
청주시 (51)
충주시 (35)
충청남도
계룡시 (13)
공주시 (65)
금산군 (19)
논산시 (60)
당진시 (3)
보령시 (13)
부여군 (58)
서산시 (109)
서천군 (5)
아산시 (101)
예산군 (59)
천안시 (19)
청양군 (111)
태안군 (1)
홍성군 (25)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499)
군산시 (129)
김제시 (520)
남원시 (542)
무주군 (169)
부안군 (1175)
순창군 (452)
완주군 (324)
익산시 (235)
임실군 (654)
장수군 (118)
전주시 (328)
정읍시 (587)
진안군 (350)
전라남도
강진군 (317)
고흥군 (219)
곡성군 (190)
광양시 (134)
구례군 (340)
나주시 (699)
담양군 (251)
목포시 (5)
무안군 (111)
보성군 (1374)
순천시 (283)
신안군 (231)
여수시 (136)
영광군 (1362)
영암군 (1067)
완도군 (52)
장성군 (458)
장흥군 (588)
진도군 (24)
함평군 (199)
해남군 (608)
화순군 (442)
경상북도
경산시 (94)
경주시 (2186)
고령군 (27)
구미시 (228)
김천시 (51)
문경시 (46)
봉화군 (240)
상주시 (579)
성주군 (309)
안동시 (3651)
영덕군 (781)
영양군 (312)
영주시 (257)
영천시 (254)
예천군 (250)
울진군 (47)
의성군 (175)
청도군 (92)
청송군 (59)
칠곡군 (266)
포항시 (94)
경상남도
거제시 (161)
거창군 (279)
고성군 (12)
김해시 (176)
남해군 (61)
밀양시 (270)
사천시 (25)
산청군 (152)
양산시 (10)
의령군 (25)
진주시 (506)
창녕군 (15)
창원시 (39)
통영시 (18)
하동군 (74)
함안군 (164)
함양군 (194)
합천군 (252)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08)
제주시 (556)
홈
>
디렉토리분류
>
지역분류
> 청주시
총
51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자료정렬 :
=== 선택 ===
자료명
작성시기
구축시기
유형
주제
소장처
시기
권역
전체
국왕·왕실
정치·행정
법제
경제
사회
교육·문화
종교·풍속
개인
전체
전체
문중
서원·향교
박물관·도서관
공공기관
해외
기타
개인
전체
전체
삼국․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
기타
전체
전체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전체
규장각
장서각
강원권
영남권
충청권
호남권
해외권
전체
고서
고문서
전체
전체
1651년 김손열(金孫說) 입안(立案)
/ 고문서자료관
발급:청주목,수취:김손열
/ 작성지역:충청도 청주목
/ 작성시기:1651
1651년 윤기(尹琦) 초사(招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윤기,수취:청주목
/ 작성지역:충청도 청주목
/ 작성시기:1651
1651년 윤성(尹珹), 윤가임(尹可任) 초사(招辭)
/ 고문서자료관
발급:윤성, 윤가임,수취:청주목
/ 작성지역:충청도 청주목
/ 작성시기:1651
1692년 손만웅(孫萬雄)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손만웅
/ 작성지역:청주
/ 작성시기:1692
1692년 1월 3일에 손만웅이 미상의 수신자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백형 내외의 초상을 위로하면서, 지난번 이모의 상 때문에 노모가 편치 않아 휴가를 내어 왔으나 피로하여 보름쯤에 위문을 가겠다는 뜻을 알리며, 풍정의 편지는 내일 모레쯤 인편이 있으면 전하겠다며 끝인사를 붙였고, 형이 편지를 받고 매우 감사하지만 오래지 않아 나아가 이야기...
1817년 권사억(權師億) 서간(書簡)
/ 영남권역
발급:권사억,수취:이병순
/ 작성지역:청주
/ 작성시기:1817
1817년 8월 12일에 권사억이 소도둑의 전토를 처리하는 문제에 대해 알려주기 위해 이병순에게 보낸 편지이다. 그는 청안현의 아전이 소도둑의 전토를 저당잡고 소 값을 받아낸 뒤에 전토를 도둑에게 돌려주는 것이 옳다고 하며 이방에게 전토 문권을 진영에 제출하게 한 다음 소 값을 즉시 받아내도록 명령하라고 하고 있다.
1833년 공충도병마절도사(公忠道兵馬節度使) 관(關)
/ 고문서자료관
발급:공충도병마절도사,수취:호조
/ 작성지역:공충도 청주목
/ 작성시기:1833
1842년 공충도병마우후(公忠道兵馬虞侯) 첩정(牒呈)
/ 고문서자료관
발급:공충도병마우후,수취:공충도병마절도사
/ 작성지역:공충도 청주목
/ 작성시기:1842
1874년 김경희(金敬熙) 등 상서(上書)
/ 호남권역
발급:김경희,수취:전라감영
/ 작성지역:충청도 청주
/ 작성시기:1874
1874년 8월에 김경희(金敬熙) 등이 전라감사(全羅監司)에게 올린 상서(上書)로, 삼인대(三印臺) 국내(局內)에 김병수(金秉壽)와 나세경(羅世景)이 몰래 무덤을 썼으니 관문(關文)을 내려 무덤을 파내게 해달라는 내용이다.
1874년 윤정학(尹正學) 서간(書簡)
/ 호남권역
발급:윤정학,수취:이씨
/ 작성지역:충청도 금천 동산리
/ 작성시기:1874
1874년 1월 4일 금천 동산리윤정학이 순창 마리이생원 댁에 보낸 편지이다. 주요 내용은 자식 혼사로 인한 돈 문제이다.
1874년 정준조(鄭駿朝) 서간(書簡)
/ 호남권역
발급:정준조,수취:이씨
/ 작성지역:충청도 금천
/ 작성시기:1874
1874년 1월 2일 금천에 거주한 정준조가 순창 마리의 이생원 댁에 보낸 편지이다. 새해인사와 자신의 근황을 전하고 이생원댁 근처의 일등 규수감을 자신의 아들과 혼담을 주선해 주기를 부탁한 내용이다.
1898년 조장하가 어취선에게 보낸 서간
/ 충청권역
발급:조장하,수취:어취선
/ 작성지역:청원군
/ 작성시기:1898
2. 안내정보 1898년(무술) 11월 23일에 청원의 조장하(趙章夏)가 어취선(魚聚善)에게 보낸 편지이다. 사문(斯文)의 의지처인 류중교(柳重敎)가 안 계심을 말하며, 수신자더러 그 학통을 잘 이어 펼치라고 격려하였다.
1899년 노정섭이 어취선에게 보낸 서간
/ 충청권역
발급:노정섭,수취:어취선
/ 작성지역:충청북도 청주시
/ 작성시기:1899
2. 안내정보 1899년(기해) 2월 17일에 노정섭(盧正燮)이 사위인 환성 어취선(喚醒魚聚善)에게 보낸 편지이다. 소당(韶堂)의 예회(禮會) 참석 소식을 전하고, 주자의 교육법을 체득하여 '환성(喚醒)'을 해내라고 하였다.
1899년 조장하가 보낸 편지
/ 충청권역
발급:조장하,수취:어취선
/ 작성시기:1899
1899년(기해) 8월 1일에 문의(文義)의 조장하(趙章夏)가 청주의 어취선(魚聚善)에게 보낸 편지이다. 스승인 발신자가 팔구월 두 달 동안은 몸을 움직이기가 어렵겠다 말하고, 일간에 공주를 가려는데 그때에 들러 만나보자 하였다.
1900년 ●노정섭이 어취선에게 보낸 서간
/ 충청권역
발급:노정섭,수취:어취선
/ 작성지역:충청북도 청주시
/ 작성시기:1900
2. 안내정보 1900년(경자) 2월 5일에 노정섭(盧正燮)이 승여 어취선(升汝魚聚善)에게 보낸 편지이다. 지난 달 천안 백석(白石)으로 이사했음, 청주 묵계(墨溪)의 훈장 자리와 어윤적(魚允績)의 행정(杏亭) 이사 등을 말하였다.
1900년 노정섭이 어취선에게 보낸 서간
/ 충청권역
발급:노정섭,수취:어취선
/ 작성지역:충청북도 청주시
/ 작성시기:1900
2. 안내정보 1900년(경자) 9월 12일에 연곡 노정섭(蓮谷盧正燮)이 청주의 사위 어취선(魚聚善)에게 보낸 편지인데, 어취선이 지은 문장 『태극도설기의(太極圖說起疑)』을 검토한 소감을 말하며 칭찬과 격려를 보냈다.
1900년 변용이 어윤적에게 보낸 축원의 서문
/ 충청권역
발급:변용,수취:어윤적
/ 작성지역:충청북도 청주시
/ 작성시기:1900
2. 안내정보 1900년(경자) 윤8월 27일에 청주 시동(柿洞)의 이웃 변용(卞鎔)이 어윤적(魚允績)에게 보낸 축원의 서문(序文)이다. 짝을 이루는 천지음양(天地陰陽)의 도리들을 말하고, 큰 연원을 가진 깊은 학문으로 시무(時務)를 달성하여 양기(陽氣)를 회복시키기 바란다고 축원하였다.
1900년 변용이 어윤적의 호 '극재(克齋)’를 위한 기문(記文)
/ 충청권역
발급:변용,수취:어윤적
/ 작성지역:충청북도 청주시
/ 작성시기:1900
2. 안내정보 1900년(경자) 7월 8일에 욱재 변용(勖齋卞鎔)이 어윤적(魚允績)의 호 '극재(克齋)'의 의미를 안연(顔淵)의 극기복례(克己復禮)로 설명하고 축원한 기문(記文)이다.
1900년 이상규가 보낸 편지
/ 충청권역
발급:이상규
/ 작성시기:1900
1900년(경자) 12월 15일에 이상규(李商珪)가 보낸 회답 편지이다. 유중교(柳重敎)의 문집과 대전(大全)을 잘 받았음, 혼사 택일과 관례(冠禮)ㆍ친영(親迎)의 일, 그리고 제천 장담(長潭)의 서신 등을 말하였다.
1900년 홍승의가 어취선에게 보낸 서간
/ 충청권역
발급:홍승의,수취:어취선
/ 작성지역:청주 柿洞
/ 작성시기:1900
2. 안내정보 1900년(경자) 10월 21일, 홍승의(洪承義)가 청주 시동(柿洞)의 어취선(魚聚善)에게 보낸 편지이다. 스승 류인석(柳麟錫)이 8월에 의화단(義和團)의 소요를 피해 만주에서 강계(江界)에 왔다가, 9월에 파주에서 진정 상소를 올리자 고종이 체포명령을 철회하고, 비밀 협의를 위해 한성 외곽에 와 달라 하였는데, 류...
1901년 노정섭이 어취선에게 보낸 서간
/ 충청권역
발급:노정섭,수취:어취선
/ 작성지역:충청북도 청주시
/ 작성시기:1901
2. 안내정보 1901년(신축) 10월 14일에 연곡 노정섭(蓮谷盧正燮)이 객지에 나가 있는 사위 어취선(魚聚善)에게 보낸 편지로서, 군자의 학문이 갖춰야할 삼 요소 이외에 작문능력도 중요함을 말하였다.
1
2
3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